[생물]조스타박스주(대상포진생바이러스백신)

대상포진 예방백신
제조사
한국엠에스디(주)
포장단위
1 Vial
보험코드
655500901
최소 주문수량 갯수는 1 개 이상
  • [생물]조스타박스주(대상포진생바이러스백신)
공급사 재고 수량
백신공급사(의약품) 999
용법ᆞ용량 
이 백신은 1회 0.65㎖ 피하주사하며, 상완부 (삼각근 부위)에 주사하는 것이 선호된다. 혈관내 또는 근육 주사를 하여서는 안된다.
- 조제 및 투여방법
이 약과 함께 제공된 주사기내 첨부용제를 동결건조된 백신이 들어있는 바이알에 모두 넣고 완전히 혼화되도록 흔든다. 이 백신은 조제시 약간 흐리거나 반투명의 회색 빛이 도는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액체이다. 용해액 전량을 주사기에 취한 후 0.65㎖피하 주사한다. 역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제 후 즉시 백신을 투여하여야 하며, 조제후 30분 이내 사용하지 않은 백신은 폐기하여야 한다.
이 약은 냉장보관해야 하며 냉장고에서 꺼낸 후 즉시 조제한다. 또한 조제된 백신을 냉동하여서는 안 된다.이 약의 조제 및 투여 시 별도의 무균 주사침을 사용한다.
사용된 바늘은 적절하게 처리하며 다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금기 
1) 젤라틴 등 이 백신의 구성 성분에 대해 과민반응이 있는 자
2) 네오마이신에 대해 아나필락시스/아나필락시스 유사 반응의 병력이 있는 자 (용해된 각 백신에는 미량의 네오마이신이 포함된다). 다만, 접촉성 피부염으로 발현되는 네오마이신 알레르기는 이 백신 접종의 금기 대상은 아니다.
3) 원발성 및 다음의 조건으로 인한 후천성 면역결핍 상태에 있는 환자: 급성 및 만성 백혈병, 림프종 또는 골수/림프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상황, HIV/AIDS에 의한 면역억제(2. 약물이상반응 참고), 세포성 면역결핍.
4)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하여 면역억제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2. 약물이상반응 참고), 그러나 국소/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저용량의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 받고 있는 자와 부신기능부전에 대한 대체요법으로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 받고 있는 경우는 이 백신의 금기 대상이 아니다. 조스타박스는 약독화된 대상포진생바이러스 백신으로 면역억제환자 또는 면역결핍환자에게 투여 시 치명적인 결과를 포함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관련 파종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5) 치료받고 있지 않는 활동성 결핵 환자
6) 임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항 참조)
이상반응 
이 백신은 만 50세 이상 성인, 약 32,000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통해 전반적인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1) 만 50 – 59세 피험자에서의 백신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 (ZOSTAVAX Efficacy and Safety Trial, ZEST)
백신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ZEST)에서 피험자는 이 백신(n=11,184) 또는 위약(n=11,212)을 1회 투여 받았으며 시험기간 동안 전반적인 안전성을 모니터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백신 관련 중대한 이상사례가 백신 투여군에서 1명(아나필락시스 반응) 보고되었다.
백신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ZEST)에 참여한 모든 피험자는 시험기간 동안 정기적인 안전성 모니터링에 추가적으로 백신접종보고카드를 작성하도록 하여 백신 접종 후 1 – 42일 동안 발생한 이상사례를 조사하였다.
1% 이상의 발생률로 보고된 백신 관련 주사부위 및 전신 이상사례는 표 1과 같다. 백신 관련 주사부위 이상사례의 전체 발생률은 위약 투여군에 비하여 백신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백신 투여군 63.9%, 위약 투여군 14.4%).
표1. 백신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ZEST) 중 이 백신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에서1% 이상으로 보고된 백신 관련 주사부위 및 전신 이상사례 (백신 접종 후 1 – 42 일)
     이 백신 투여군    위약 투여군
     (N=11,094)    (N=11,116)
이상사례    %    %
주사부위          
통증†    53.9    9.0
홍반†    48.1    4.3
종창†    40.4    2.8
가려움증    11.3    0.7
온감    3.7    0.2
혈종    1.6    1.6
경결    1.1    0.0
전신          
두통    9.4    8.2
사지 통증    1.3    0.8
†주사부위 이상사례는 백신접종 후 1 – 5 일간 계획된 자료수집체계를 통하여 보고되었다.
2) 만 60세 이상 피험자에서의 대상포진 예방 시험 (Shingles Prevention Study, SPS)
최대 규모로 진행된 대상포진 예방 시험(SPS)에서 총 38,546명이 이 백신(n=19,270) 또는 위약(n=19,276)을 1회 투여 받았으며 시험기간 동안 안전성을 모니터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백신 관련 중대한 이상사례가 백신 투여군에서 2명(천식 악화,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및 위약 투여군에서 3명(굿파스처증후군;Goodpasture's syndrome, 아나필락시스,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에서 보고되었다.
대상포진예방 시험(SPS)의 이상사례 모니터링 소집단(백신 투여군 n=3,345, 위약 투여군 n=3,271)에 대해서는 시험기간 동안 정기적인 안전성 모니터링에 추가적으로 백신접종보고카드를 작성하도록 하여 백신 접종 후 0 – 42일 동안 발생한 이상사례를 조사하였다. 1% 이상의 발생률로 보고된 백신 관련 주사부위 및 전신 이상사례는 표 2와 같으며 이들 이상사례의 대부분은 경증이었다. 백신 관련 주사부위 이상사례의 전체 발생률은 위약 투여군에 비하여 백신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백신 투여군 48%, 위약 투여군 17%).
표2. 대상포진 예방 시험(SPS) 중 이 백신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에서 1% 이상으로 보고된 백신 관련 주사부위 및 전신 이상사례 (백신 접종 후 0 – 42일)
     이 백신 투여군    위약 투여군
     (N=3,345)    (N=3,271)
이상사례    %    %
주사부위          
홍반†    35.6    6.9
통증/압통†    34.3    8.6
종창†    26.1    4.5
혈종    1.6    1.4
가려움증    7.1    1.0
온감    1.7    0.3
전신          
두통    1.4    0.9
†주사부위 이상사례는 백신접종 후 0 – 4 일간 계획된 자료수집체계를 통하여 보고되었다.
1% 이상 보고된 이상사례는 이 백신 투여군과 위약군에 대해서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호흡기감염(1.9% 및 1.7%), 발열(1.8% 및 1.6%), 독감증후군(1.7% 및 1.6%), 설사(1.5% 및 1.3%), 비염(1.4% 및 1.1%), 피부장애(1.1% 및 1.0%), 호흡기장애(1.1% 및 0.8%), 무력감(1.0% 및 0.4%)
이상사례 모니터링 소집단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피험자에 대해서는 백신접종보고카드 없이 정기적인 안전성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모니터링 소집단에서 보고된 것과 대체로 유사하였다.
3) 백신 접종 후 수두-대상포진 발진
백신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ZEST)에서 접종 후 42일 동안의 보고 기간에 비-주사부위 대상포진-유사 발진은 34명의 피험자에서 보고되었다 (백신 투여군 19명, 위약 투여군 15명). 이 중 중합효소 연쇄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시험에 적합한 24건의 표본에 대해 PCR 시험을 하였을 때, 10건(백신 투여군 3건, 위약 투여군 7건)에서 야생형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가 검출되었으며,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Oka/Merck 백신 균주가 검출된 표본은 없었다. 또한 동 기간 중 보고된 수두-유사 발진(n=124, 백신 투여군 69명 및 위약 투여군 55명) 중 PCR 시험에 적합한 23건의 표본에서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백신 투여군에서 1건 검출되었으나, 바이러스형(야생형 또는 Oka/Merck주)은 판정할 수 없었다.
대상포진 예방시험(SPS)에서 접종 후 42일 동안의 보고 기간에 모든 피험자에서 보고된 비-주사부위 대상포진-유사 발진은 백신 투여군 17건, 위약 투여군 36건에서 발생하였으며(p=0.009), 이 중 PCR 시험에 적합한 41건의 표본에 대해 PCR 시험을 하였을 때, 25건(백신 투여군 5건, 위약 투여군 20건)에서 야생형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Oka/Merck 백신 균주가 검출된 표본은 없었다. 또한 동 기간 중 보고된 수두-유사 발진(n=59) 중 PCR 시험에 적합한 10건의 표본에서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이 백신(냉동보관제형)의 최초 허가의 근거가 되는 또 다른 임상시험에서 백신 접종 후 42일 내에 17건의 비-주사부위에서의 대상포진 발진 및 수두-유사 발진이 발생하였다. 이중 10건의 표본에서 PCR 시험이 가능하였으며 수두-유사발진을 보인 2명의 피험자의 병변 부위에서 Oka/Merck 백신 균주가 확인되었다.
4) 기타 임상시험
① 불활화 인플루엔자 백신과의 병용 투여 시험을 포함한 만 50세 이상의 피험자에서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대상포진 예방시험(SPS)의 이상사례 모니터링 소집단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이 시험들에서 만 50-59세의 피험자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의 주사부위 이상사례의 발생률이 만 60세 이상의 피험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② 이 백신의 2차 접종시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였다. 위약대조, 이중눈가림 시험에서 만 60세 이상의 98명의 성인들에 대해 이 백신의 1차 접종으로부터 42일 후 2차 접종을 하였다; 2차 접종 후 백신 관련 이상사례의 발생 빈도는 1차 접종시와 유사하였다.
③ 백신 접종 전 대상포진 병력이 있는 만 50세 이상의 피험자 100명에게 이 백신을 투여한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안전성 프로파일은 대상포진 예방시험(SPS)의 이상사례 모니터링 소집단에서 관찰된 것과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④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혈청음성 또는 낮은 혈청양성 피험자에 대한 2건의 임상시험에서 얻어진 제한적인 자료에 의하면 (만 30세 이상 성인 27명에게 약독화 대상포진 생바이러스 백신을 접종), 주사부위 및 전신 이상사례는 임상시험에서 이 백신을 접종한 피험자에서 보고된 이상사례와 전반적으로 유사하였으며, 27명 중 2명의 피험자가 발열을 보고하였다. 수두-유사 발진 또는 대상포진-유사 발진은 보고되지 않았다. 백신 관련 중대한 이상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5) 시판 후 이상사례
이 백신의 시판 후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상사례는 불특정 규모의 인구 집단에서 자발적으로 보고되었으므로, 해당 이상사례 발생률을 추정하거나 또는 이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확립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① 피부 및 피하조직: 발진
②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관절통, 근육통
③ 일반적 및 주사부위: 주사부위 발진; 주사부위 두드러기; 발열; 일시적인 주사부위 림프절병증
④ 면역계: 아나필락시스 반응 등의 과민반응
⑤ 위장관 장애: 메스꺼움
⑥ 눈 장애: 괴사성 망막염 (면역억제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경우)
⑦ 감염 및 감염증: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백신 균주)
⑧ 신경계 장애: 길랑바레증후군, 안면마비
6) 국내 사용성적조사에서 확인된 이상사례
- 국내에서 4년 동안 7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이상사례 발현율은 17.17%(132명/769명, 229건)이었고, 이 중 본제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15.08%(116명/769명, 204건)로, 주사 부위 통증 8.58%(66명/769명, 66건), 주사 부위 부종 6.24%(48명/769명, 48건), 주사 부위 홍반 4.81%(37명/769명, 37건), 주사 부위 가려움증 2.86%(22명/769명, 22건), 발열 0.65%(5명/769명, 5건), 권태, 두통 각 0.52%(4명/769명, 4건), 피로 0.39%(3명/769명, 3건), 통증, 주사부위 발진, 근육통 각 0.26%(2명/769명, 2건), 열감, 가슴 통증, 주사 부위 혈종, 주사부위 두드러기, 오심, 소화불량, 관절통, 가려움증, 두드러기 각 0.13%(1명/769명, 1건)이 보고되었다.
- 중대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13%(1명/769명, 1건)로, 전립선암 0.13%(1명/769명, 1건)이 보고되었으며, 이 약과의 투여ㆍ사용과의 인과관계는 가능성이 적은(unlikely) 것으로 평가되었다.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3.64%(28명/769명, 34건)로, 권태, 피로 각 0.52%(4명/769명, 4건), 통증, 오심 각 0.39%(3명/769명, 3건), 소화불량, 변비 각 0.26%(2명/769명, 2건), 열감, 가슴 통증, 입안염, 십이지장 궤양, 치질, 위장관 장애, 입술염, 입술통증, 가려움증, 두드러기, 코인두염, 헤르페스 피부염, 적응장애, 요추척추관 협착, 기침, 전립선암 각 0.13%(1명/769명, 1건)로 보고되었다.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1.56%(12명/769명, 15건)로, 권태 0.52%(4명/769명, 4건), 피로 0.39%(3명/769명, 3건), 통증 0.26%(2명/769명, 2건), 열감, 가슴 통증, 오심, 소화불량, 가려움증, 두드러기 각 0.13%(1명/769명, 1건)이었다.
-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13%(1명/769명, 1건)로, 전립선암 0.13%(1명/769명, 1건)이었으며, 이 약과의 투여ㆍ사용과의 인과관계는 가능성이 적은(unlikely)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중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7) 이 약에 대한 국내 재심사 이상사례 및 자발적 부작용 보고자료를 국내 시판 허가된 모든 의약품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사례 보고자료와 재심사 종료시점에서 통합 평가한 결과, 다른 모든 의약품에서 보고된 이상사례에 비해 이 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 중 새로 확인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 결과가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전신적 질환: 피로, 권태
- 호흡기계 질환: 상기도 감염
일반적주의 
1) 의사는 백신 접종자에게 이전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함유 백신의 접종 후 반응에 관하여 문진한다.
2) 이 백신은 만 50세 이상의 성인에서 대상포진 예방을 위해 투여해야 한다.
3) 수두의 예방목적으로 이 백신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4) 이 백신은 정상적인 면역반응이 유도될 수 있는 사람에게 접종함을 원칙으로 한다.
5) 이 백신을 대상포진 또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Post Herpetic Neuralgia)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6)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아나필락시스 유사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에피네프린 주사(1:1000)를 포함하여 적절한 응급조치를 구비한다.
7) 38.5℃를 초과하는 발열 등의 급성 병증이 있는 경우, 백신 접종 연기를 고려하여야 한다.
8)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이 백신이 모든 접종자에게 예방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백신은 임상시험을 통해 4년간 백신의 예방효능이 입증되었으며 그 이후 추가접종의 필요성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9) 이 백신을 여러 번 접종한 경우에 대한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2차 접종에 대한 필요성은 확실하지 않다.
10) 이 백신의 임상시험에서 백신의 바이러스 전파는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수두 백신의 시판 후 보고사례에서 수두-유사 발진을 보이는 백신 접종자와 감수성이 있는 접촉자 사이에 드물게 백신의 바이러스 전파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제시되었다. 수두-유사 발진을 나타내지 않은 수두 백신 접종자로부터의 백신 바이러스 전파가 보고된 바 있다.
11) 이 백신이 기계 또는 운전 조작 등에 미치는 영향은 평가되지 않았다.
상호작용 
1) 이 백신은 불활화 인플루엔자 백신과 병용투여 가능하다.
2) 이 백신과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진 항바이러스 약물을 동시 투여하였을 때 유효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3) 이 백신과 프로디악스-23의 병용투여는 이 백신의 면역원성을 감소시키므로, 이 백신과 프로디악스-23은 병용투여하지 않으며, 만약 두 백신의 접종이 필요할 경우, 두 백신은 최소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접종할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임부에 대한 투여 
이 백신에 대한 동물에서의 생식독성시험은 실시되지 않았으며 또한 이 백신을 임부에 투여 시 태아에 해를 끼치거나 생식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은 때때로 태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임부에게 접종하지 않는다; 또한, 백신 접종 후 3개월 간 임신을 피해야 한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항 참조).
수유부에 대한 투여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사람 유즙으로 분비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일부 바이러스가 사람 유즙으로 분비되므로, 이 백신을 수유부에 투여해서는 안 된다.
유ᆞ소아에 대한 투여 
이 백신을 수두의 예방목적 등으로 소아에게 사용하지 않는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백신의 최대 규모의 임상시험(N=38,546)에 등록된 피험자의 연령의 중간값은 만 69세였다(범위 만 59-99세). 이 백신을 투여 받은 19,270명의 피험자 중 10,378명은 만 60 -69세였고 7,629명은 만 70 -79세였으며 1,263명은 만 80세 이상이었다.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도록 주의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3) 이 백신과 다른 약물을 한 주사기에 혼합하여 사용해서는 안 된다.
기타 주의사항 
전문가용 정보
1) 약리작용 정보
대상포진 발생의 위험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ZV) 특이적인 면역의 감소와 연관이 있다. 이 백신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특이적인 면역을 증강시키며, 이것이 대상포진 및 그 합병증을 예방하는 기전으로 생각된다.
2) 임상시험 정보
① 만 50 – 59세 성인 22,439명을 대상으로 이 백신 또는 위약을 무작위로 접종한 백신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ZEST)에서 이 백신의 대상포진(HZ) 예방에 대한 유효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3).
표 3. 백신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ZEST): 대상포진 발생률에 대한 위약 대비 백신 투여군에서의 유효성
연령군    백신군
피험자수    위약군
피험자수    대상포진에 대한
백신 유효성
(95% 신뢰구간)
ZEST1:
만 50 – 59세    11,211    11,228    69.8% (54.1, 80.6)
1 백신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ZEST)에서는 무작위배정 된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② 만 60세 이상의 성인 38,546명을 대상으로 이 백신 또는 위약을 무작위로 접종한 대상포진 예방시험(SPS)에서 이 백신의 대상포진(HZ) 및 대상포진후신경통(PHN)의 예방과 질병부담(burden of illness; BOI)에 대한 유효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
표 4. 대상포진 예방시험(SPS): 대상포진 발생률, 대상포진후신경통(PHN) 1 예방 및 질병부담(BOI)에 대한 위약 대비 백신 투여군에서의 유효성
연령군    백신군
피험자수    위약군
피험자수    대상포진에 대한 백신 유효성
(95% 신뢰구간)    대상포진후신경통(PHN)1에 대한 위약 대비 백신 유효성
(95% 신뢰구간)    질병부담3에 대한 위약 대비 백신 유효성
(95% 신뢰구간)
SPS2:
전체    19,254    19,247    51% (44, 58)    67% (48, 79)    61% (51, 69)
SPS:
만 60 - 69세    10,370    10,356    64% (56, 71)    66% (20, 87)    66% (52, 76)
SPS:
만 70 - 79 세    7,621    7,559    41% (28, 52)    67% (43, 81)    55% (40, 67)
SPS:
만 ≥ 80세    1,263    1,332    18% (-29, 48)          
1 ‘대상포진후신경통(PHN)’은 Zoster Brief Pain Inventory(ZBPI)을 사용하여 대상포진 발진 발현 후 90일 이상 나타나거나 지속된 것으로 대상포진과 관련된 통증이 3점 이상(0 – 10점 척도)인 경우를 의미한다.
2 대상포진 예방시험(SPS)에서는 백신 접종 후 최소 30일 이상 모니터링되고 30일 기간 내 대상포진이 발생하지 않은 무작위 배정된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3 대상포진 통증의 질병부담(BOI) 점수는 6개월 이상의 추적 기간 동안의 급성 및 만성 대상포진 관련 통증에 대한 발생률, 중증도 및 지속기간을 통합하여 매겨진다.
표5: 대상포진 예방시험(SPS) 사후 분석(post-hoc analysis): 대상포진 발생한 대상자에서의 대상포진후신경통(PHN)에 대한 위약 대비 백신 투여군에서의 유효성
연령군    백신군 피험자수    위약군 피험자수    대상포진 발생한 대상자에서의 대상포진후신경통(PHN)에 대한 백신의 유효성 (95% CI)
SPS: 전체    19,254    19,247    39% (7%, 59%)
SPS: 만 60 - 69세    10,370    10,356    5% (-107%, 56%)
SPS: 만 70 - 79세    7,621    7,559    55% (18%, 76%)
SPS: 만 ≥ 80세    1,263    1,332    26% (-69%, 68%)
③ 미국에서 대규모로 진행중인 이 백신의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전향적 관찰 코호트 연구의 중간분석 결과, 예방접종 당시 만 50세 이상이었던 성인에서 이 백신의 접종은 비접종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대상포진 및 대상포진후신경통(PHN)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2007년에서 2014년까지의 연구기간 동안 1,355,720명의 연구대상자 중 392,677명이 이 백신을 투여받았으며, 총 48,889 건의 확인된 대상포진 사례와 3,316 건의 확인된 대상포진후신경통(PHN)(90일 넘게 지속되는 대상포진 관련된 통증) 사례가 관찰되었다.
이 백신 접종 후 최대 8년 간 대상포진에 대한 백신효과(vaccine effectiveness; VE)를 평가한 결과, 백신 접종 당시 연령에 따른 백신효과 및 백신 접종 후 첫 3년과 5년 시점에서의 평균 백신효과 추정치는 아래와 같다 (표 6).
표6. 연구기간 동안 및 백신접종 후 3년, 5년 시점에서의 백신 접종 당시 연령에 따른 대상포진에 대한 이 백신의 효과*(VE), 2007년-2014년
     백신 접종 당시 연령†
     만 50-59세    만 60-69세    만 70-79세    만 80세 이상    모든 연령군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접종 후 3년
평균 백신효과§    60%
(52, 66)    55%
(52, 57)    50%
(47, 53)    48%
(43, 53)    52%
(51, 54)
백신접종 후 3년차 백신효과    36%
(-55, 73)    40%
(34, 46)    44%
(37, 51)    35%
(19, 48)    41%
(37, 45)
백신접종 후 5년
평균 백신효과§    ¶    49%
(47, 52)    46%
(43, 48)    44%
(38, 49)    47%
(46, 49)
백신접종 후 5년차 백신효과    ¶    34%
(25, 42)    29%
(18, 38)    36%
(12, 53)    33%
(26, 39)
* 백신효과(VE)는 추적기간 동안 대상포진의 첫번째 발생 건으로 추정되며 (1-위험비)x100으로 계산된다.
†Cox 모델은 추적기간 동안 달력시간, 연령, 성별, 인종/민족, 보건자원 활용(독감 예방접종, 1년 당 외래방문 주수), 동반이환 상태(DxCG 점수, HCUP 위험도), 면역결핍 상태에 따라 보정되었다.
§ 평균 백신효과는 3년 및 5년에 걸친 연간 백신효과 추정치의 가중치 평균으로 계산되며, 여기에서 가중치는 전체 기간에 대한 비율이다.
¶ 중간 분석 당시 얻어지지 않은 데이터
DxCG: diagnostic cost group; HCUP: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유사하게, 대상포진후신경통(PHN)에 대한 백신효과(VE)는 백신 접종 후 8년까지 평가되었다. 백신 접종 당시 연령에 따른 백신효과 및 백신 접종 후 첫 3년과 5년 시점에서의 평균 백신효과 추정치는 아래와 같다 (표 7).
표7. 연구기간 동안 및 백신접종 후 3년, 5년 시점에서의 백신 접종 당시 연령에 따른 대상포진후신경통(PHN)에 대한 이 백신의 효과*(VE), 2007년-2014년
     백신 접종 당시 연령†
     만 50-59세    만 60-69세    만 70-79세    만 80세 이상    모든 연령군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효과 %
(95% 신뢰구간)
백신접종 후 3년 평균 백신효과§    ¶    74%
(66, 80)    73%
(65, 79)    63%
(49, 73)    71%
(66, 75)
백신접종 후 3년차 백신효과    ¶    71%
(53, 83)    70%
(52, 82)    53%
(5, 77)    68%
(57, 77)
백신접종 후 5년 평균 백신효과§    ¶    72%
(65, 77)    69%
(62, 75)    61%
(47, 71)    68%
(64, 72)
백신접종 후 5년차 백신효과    ¶    61%
(33, 77)    69%
(44, 82)    34%
(-49, 71)    61%
(45, 73)
* 백신효과(VE)는 추적기간 동안 대상포진의 첫번째 발생 건으로 추정되며 (1-위험비)x100으로 계산된다.
†Cox 모델은 추적기간 동안 달력시간, 연령, 성별, 인종/민족, 보건자원 활용(독감 예방접종, 1년 당 외래방문 주수), 동반이환 상태(DxCG 점수, HCUP 위험도), 면역결핍 상태에 따라 보정되었다.
§ 평균 백신효과는 3년 및 5년에 걸친 연간 백신효과 추정치의 가중치 평균으로 계산되며, 여기에서 가중치는 전체 기간에 대한 비율이다.
¶ 중간 분석 당시 얻어지지 않은 데이터
DxCG: diagnostic cost group; HCUP: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3) 비임상 정보
이 백신에 대한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등은 평가되지 않았다.
저장방법 
밀봉용기, 2~8℃에서 냉장보관












 


생물-엠엠알Ⅱ(홍역/풍진)



판매사 한국엠에스디(주)
수입사 한국엠에스디(주) 
보험정보 655500271
포장단위 0.5mL*5병


효능ᆞ효과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및 풍진의 예방
용법ᆞ용량 
12개월 이상의 모든 연령에서 첨부된 용해액으로 용해 후 전량을 상완외측에 1회 피하주사한다.
생후 12개월 이후 1차접종한다. 1차접종의 효과가 없는 경우의 항체양전 유도를 위해 초등학교 입학전에 재접종한다.
1) 권장접종시기
(1) 1차 접종: 생후 12~15개월
(2) 2차 접종: 만 4~6세
2) 생후 12개월 미만(6~12개월)의 영아
홍역이 유행하고 있을 때에는 생후 6~12개월 사이의 영아에게 홍역 백신을 투여할 수 있으나 생후 6-12개월 영아는 홍역 항원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생후 12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유행성이하선염 및 풍진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접종 시의 나이가 어릴수록 항체양전율이 낮으므로, 생후 12개월 이내에 백신을 접종한 영아는 생후 12~15개월과 초등학교 입학전에 재접종 한다.
접종자의 보호자는 백신접종 기록을 확인하여 불필요한 백신접종을 피한다.
3) 가임기 여성
가임기 여성의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한 경우에 한하여 풍진 생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참조). 가임기 여성에 대한 접종은 여성 자신의 개인별 질병 예방은 물론, 후에 임신 시 태아의 풍진 바이러스 감염 및 풍진에 의한 선천성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가임여성에게 예방접종 후 피임기간 및 그 이유에 대해 알린다(사용상의 주의사항, 7. 임부에 대한 투여 참조). 가임 여성은 접종 전에 풍진에 대한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한 혈청검사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결혼 전 및 산전에 실시하는 검사를 제외하고, 모든 가임기 여성에게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이 검사(감수성이 있다고 증명되는 경우에만 백신을 접종한다)는 효과적이지만 검사 비용이 많이 들고 의료기관에 2회 방문(1차: 혈청검사, 2차-백신접종)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임신하지 않았고 백신 접종력이 없는 여성은 혈청검사 없이 풍진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다. 특히 검사비용이 많이 들고, 감수성이 확인된 여성의 follow-up이 확실하지 않을 때에는 이 방법이 선호된다- 대체적으로 접종 2-4주후에 일시적인 관절통 및/또는 관절염이 생길 수 있다(사용상의 주의사항, 3. 약물이상반응 참조).
4) 산후여성
많은 경우에 풍진에 감수성이 있는 여성에 대하여 출산직후에 백신을 접종하는 것의 편리함이 확인되었다(사용상의 주의사항, 8. 수유부에 대한 투여 참조).
5) 기타
감수성이 있는 임부와 접촉하는 백신을 접종받지 않은 생후 12개월 이상의 소아는 임부에 대한 노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약독 풍진 생바이러스 백신(풍진 일가 백신 또는 MMR)을 접종 받는다.
여행 시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감수성이 있는 자는 적절한 일가백신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또는 혼합백신을 접종한다. 유행성이하선염 및 풍진에 감수성이 있는 자에게는 M-M-R II가 선호된다. 홍역 일가 백신이 없을 때에는 유행성이하선염 또는 풍진에 대한 면역상태와 관계없이 혼합백신을 접종한다.
대학생, 의료 종사자 및 군인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감수성 있는 자는 백신을 접종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백신접종기록((1) 의사가 진단한 홍역, (2) 홍역 면역성에 대한 실험실적 증거, (3) 생후 1년 이후 적절한 홍역 생백신 접종)이 없는 사람도 백신을 접종받는다.
불활성화백신을 접종받고 3개월 이내에 생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은 생백신을 2회 재접종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연 홍역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 위험이 증가할 때에는(예: 해외여행 시) 재접종이 중요하다.
6) 바이러스 노출 후 접종
자연적으로 홍역에 노출된 자에게 노출 72시간 이내에 백신을 접종하면 어느 정도 홍역을 예방할 수 있지만, 노출 며칠 전에 백신을 접종하면 상당한 예방효과가 있을 수 있다. 자연적인 유행성이하선염이나 풍진에 노출된 자에서의 백신접종이 예방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경고 
1) 대뇌손상기왕력, 경련에 대한 개인 또는 가족력이 있거나 열에 의한 스트레스 발생을 피해야 하는 사람에게 접종 시에는 매우 주의하여야 하며 접종 후 체온이 상승하는지 유의하여 관찰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3. 약물이상반응 참조).
2) 이 백신은 사람 혈액에서 유래한 알부민을 포함하고 있으나, 효과적인 기증자 선별검사와 제품 제조공정에 근거할 때, 바이러스성 질환의 전파 위험성은 극히 적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Jakob-Creutzfeldt disease) 전파에 대한 이론적인 위험성이 있으나, 알부민 사용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또는 바이러스 질환 전파와 관련성이 있다고 확인된 사례는 없었다.
3) 계란에 대한 과민반응
홍역 생백신과 유행성이하선염 생백신은 계태아 세포 배양에서 생산된다. 계란 섭취에 따른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양 또는 다른 즉시형반응기왕력(두드러기, 구강과 인후의 종창, 호흡곤란, 저혈압, 쇼크)이 있는 자는 계태아 항원의 잔류물을 포함하고 있는 백신을 접종한 후 즉시형과민반응의 위험성이 증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백신접종 전에 유익성과 잠재적인 위험성의 비를 신중히 평가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접종 시 매우 주의해야 하며 과민반응이 일어나면 즉시 적절히 조치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4. 일반적 주의 참조).
그러나, 미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에 따르면 계란에 대한 아나필락시스 기왕력이 있는 대부분의 소아는 홍역 또는 MMR 백신에 대한 원치 않은 반응이 없다. 아나필락시스성이 아닌 계란 알러지를 가진 사람은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종한다. 또한 계란알러지가 있는 소아에서는 피부 반응검사가 즉시형 과민반응 발현여부를 예측할 수 없다. 닭 또는 닭의 깃털에 대한 알러지가 있는 자는 백신반응으로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4) 네오마이신에 대한 과민성
미소아과학회에 따르면, 국소 또는 전신적으로 투여된 네오마이신에 대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경험한 사람에게 홍역 백신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종종 네오마이신 알러지는 접촉피부염으로 나타나며, 이것은 아나필락시스이기 보다는 지연형(세포 매개) 면역반응이다. 이러한 사람에서 나타난 백신중의 네오마이신에 대한 약물이상반응은 백신접종 48 - 96시간후의 홍반/발적, 소양성 결절 또는 구진이다. 네오마이신에 대한 접촉피부염기왕력이 있는 자는 홍역 백신의 접종 금기대상이 아니다.
5) 혈소판감소증
혈소판감소증이 있는 사람은 백신접종 후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이 백신(또는 이 백신의 성분) 1차 접종 시 혈소판감소증을 경험한 사람은 재접종 시 혈소판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 추가 접종을 결정하기 위해 혈청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종 전 유익성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 비를 신중히 평가해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3. 약물이상반응 참조).
금기 
1) 열성 호흡기 질환 또는 다른 열성 감염증 환자 (그러나 미예방접종자문위원회의 권고에 따르면, 모든 백신은 경미한 발열 또는 다른 경미한 열성 질환에 관계없이, 설사 경미한 상기도 감염 등의 경미한 질환을 가진 자에게도 투여할 수 있다).
2) 젤라틴을 포함하여 이 백신의 성분에 대해 과민한 자.
3) 네오마이신에 대해 아나필락시스 또는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을 보이는 자 (용해된 각 바이알에는 약 25 μg의 네오마이신이 포함되어 있다).
4) 치료받지 않은 활동성 결핵 환자
5) 면역억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다만, 애디슨병처럼 보상요법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는 제외).
6) 백혈병, 림프종 및 골수와 림프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악성 종양 등 혈액 질환 환자.
7)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 또는 사람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의 다른 임상 증상과 관련하여 면역이 억제된 환자를 포함한 원발성·후천성 면역결핍 상태; 세포면역결핍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이상감마글로불린혈증 환자. 부주의로 홍역 바이러스를 포함한 백신을 접종받은 면역 손상자에서 홍역 바이러스 직접 감염의 결과로 홍역 봉입체 뇌염(Measles inclusion body encephalitis, MIBE), 폐렴 및 사망이 보고된 바 있다.
8) 선천적 또는 유전적인 면역 결핍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면역력이 증명될 때까지 접종하지 않는다).
9) 임부; 백신이 태아발육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가임기 여성은 접종 후 1개월간 피임한다(용법·용량, 3) 가임기 여성 및 사용상의 주의사항, 7. 임부에 대한 투여 참조).
이상반응 
다음의 약물이상반응은 시판되는 이 백신 또는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을 포함한 단가 또는 이가 백신을 사용한 임상시험 중 보고된 것으로서, 각 신체 부위별로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정도가 심한 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전신
지방층염; 비정형 홍역; 발열; 실신; 두통; 어지러움; 권태감; 자극과민성
심혈관계
혈관염
소화기계
췌장염; 설사; 구토; 이하선염; 구역
내분비계
당뇨
혈액림프계
혈소판감소증(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5) 혈소판감소증 참조); 자반증; 국소 림프절증; 백혈구증가증
면역계
알러지 기왕력에 상관없이 아나필락시스 및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이 혈관신경부종(말초 또는 안면 부종 포함) 및 기관지경련 등의 관련 증상과 함께 보고되었다.
근골격계
관절염 그리고/또는 관절통(대체로 일시적이며 드물게 만성, 하단참조); 근육통
신경계
뇌염/뇌병증(하단참조); 홍역봉입체뇌염(MIBE, 사용상의 주의사항,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참조); 아급성경화범뇌염(SSPE); 길랑-바레증후군(GBS);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열성경련; 가로방향척수염; 비열성경련 또는 발작; 운동장애; 다발성신경염; 다발성신경병증; 안구운동마비(ocular palsies); 감각이상.
호흡기계
폐렴(Pneumonia, Pnuemonitis)(사용상의 주의사항,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참조); 인후통; 기침; 비염
피부
Stevens-Johnson 증후군; 다형홍반/발적; 헤노호쉔라인자반증; 영아 급성 출혈성 부종; 두드러기; 발진; 홍역성발진; 가려움증
주사부위의 작열감/자통을 포함한 국소 반응; 두드러기 및 발적; 홍반/발적; 종창; 경결; 압통; 주사부위의 수포형성
특수감각기관-귀
신경난청; 중이염
특수감각기관-눈
망막염; 시신경염; 시신경유두염; 구후시신경염; 결막염
비뇨생식계
부고환염, 고환염
기타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백신접종 후 다양한 원인 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사망이 극히 드물게 보고되었으나 인과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이 백신을 접종한 150 만명의 소아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시판 후 조사(핀란드, 1982 - 1993년)에서 사망 또는 영구적인 후유증은 보고되지 않았다.
관절염 및/또는 관절통
관절염 및/또는 관절통(대체로 일시적이며 드물게 만성), 다발성 신경염은 자연적으로 풍진에 감염되었을 때의 특성이며 나이와 성별에 따라 빈도와 정도가 다양하다(성인여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사춘기 전 소아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만성관절염은 자연적으로 감염된 풍진과 연관성이 있으며 신체 조직에서 분리된 지속적인 바이러스 및/또는 바이러스성 항원과 관련이 있다. 백신 접종자에서 아주 드물게 만성 관절 증상이 나타났다.
소아에게 백신접종 후, 관절에서의 반응은 드물고 대체로 지속기간이 짧다. 여성에서 관절염과 관절통의 발생률은 소아보다 대체로 높으며(소아:0-3%, 여성:12-26%), 반응이 더 현저하게 나타나며 지속기간이 긴 경향이 있다. 증상은 대략 수개월 또는 드물게 수년 지속될 수 있다. 청소년기 여자에서의 반응은 성인 여자와 소아의 중간 정도의 발현율을 보였다. 만 35세 이상의 여성에서도 이러한 반응에 대하여 대체로 내약성이 우수하였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아급성경화범뇌염(SSPE)
홍역에 감염된 적은 없으나 홍역 백신을 접종받은 소아에서 아급성경화범뇌염(SSPE)이 보고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생후 1년동안 인지하지 못한 홍역으로 인한 결과이거나 또는 홍역 백신이 원인일 수 있다. 홍역백신 접종인구를 근거로 추정해 볼 때, 홍역백신과 아급성경화범뇌염의 연관성은 대략 백만 접종당 1건이다. 이는 자연적으로 감염된 홍역(자연감염 홍역 백만 건당 6-22명의 아급성경화범뇌염)과 관련된 사례보다 훨씬 적은 것이다. 미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의해 실시된 후향성 사례-대조연구 결과를 보면 홍역 백신의 전체적인 효과는 고위험도의 아급성경화범뇌염을 가진 홍역을 예방함으로서 아급성경화범뇌염을 예방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뇌염/뇌병증
뇌염/뇌병증은 Merck&Co., Inc에서 생산된 홍역, 이하선염, 풍진 백신 대략 3백만 접종 당 1건이 보고되었다. 1978년부터의 시판 후 조사에서 뇌염과 뇌병증 같은 중대한 이상사례는 드물지만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역 생백신 투여 후 이러한 중대한 신경계 장애의 위험도는 자연적인 홍역 감염으로 인한 뇌염 및 뇌병증보다 훨씬 적다(자연 홍역 감염의 경우 천 건당 1건의 사례).
심각하게 면역력이 약화된 자가 부주의로 홍역을 포함한 백신을 접종받은 경우, 홍역 바이러스 파종 감염의 직접적인 결과로 홍역봉입체뇌염, 폐렴, 치명적 경과가 보고된 바 있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참조) 또한 이하선염과 풍진 백신 바이러스에 의한 파종 감염도 보고되었다.
일반적주의 
1) 이 백신 투여 후 이 약의 성분에 의해 아나필락시스 또는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에피네프린 주사(1 : 1,000)를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 준비한다.
2) 혈관에 주입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3)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되었으나 면역이 억제되지 않은 소아 및 젊은 성인에게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 그러나 HIV 비감염자에 비하여 면역효과가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백신이 예방할 수 있는 질환에 대하여 HIV에 감염된 접종자를 주의깊게 모니터링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6) 참조).
4) 혈액 또는 혈장을 수혈하거나 사람면역글로불린을 투여받은 사람은 3개월 이상 지난 후에 접종한다.
5) 접종 후 7∼28일 정도에 상당수 사람의 코와 인후에서 소량의 풍진 생바이러스가 분비된다. 이러한 바이러스가 백신 피접종자와 접촉을 통해 전파될수 있는지의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이론적으로 가까운 접촉을 통한 전파가 가능하지만 유의한 위험성이 있다고는 판단되지 않는다. 그러나 풍진바이러스가 모유를 통하여 유아에게 이행되는 것이 보고되었다(사용상의 주의사항, 8. 수유부에 대한 투여 참조)
6) 접종자로부터 약독화 홍역 생바이러스 및 약독화 유행성이하선염 생바이러스가 감수성 있는 피접종자와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는 보고는 없다.
7) 결핵 환아의 경우 홍역 생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여 결핵이 악화된 적은 없다; 치료받지 않은 결핵 환아에 대한 홍역 생바이러스 백신의 접종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적절한 연구는 현재까지 실시된 바 없다. 그러나 치료받지 않은 활동성 결핵 환자에게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는다.
8)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이 백신은 100% 예방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9) 의사는 백신 접종자의 현재 건강상태와 이전 접종력을 확인하고, 이전의 M-M-R II 접종 후 또는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생바이러스를 포함한 백신 접종 후 발생한 반응에 대하여 문진하여야 한다.
상호작용 
1) 이 백신과 면역글로불린을 동시에 투여하지 않는다.
2) 다른 생바이러스 백신의 접종 시기와 4주 이상 간격을 둔다.
3) 이 백신을 수두백신,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비형-수막염균외막단백접합백신과 별도의 주사기로 서로 다른 부위에 주사했을 때 각 백신의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은 손상되지 않음이 입증되었다. 각 백신을 이 백신과 함께 접종하였을 때의 이상사례의 종류, 빈도 및 정도는 각 백신을 단독으로 접종한 경우와 유사하였다.
4) DTP(디프테리아, 파상풍 및 백일해 혼합 백신) 및 OPV(경구용 폴리오 백신)의 정기 접종과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및 풍진 혼합 백신과의 동시 접종은 임상자료가 부족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미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에 따르면, 권장되는 백신 시리즈 (B형간염백신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DTaP[또는 DTwP], IPV[또는 OPV], Hib 백신과 수두백신)에 관한 자료가 제한적이긴 하지만 많은 연구자료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소아 백신(활성, 약독화 또는 사백신)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5) 의사는 면역억제치료를 받을 환자의 면역상태를 평가하여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백신접종을 고려할 수 있다. 미예방접종자문위원회에 따르면 적어도 3개월동안 화학요법을 받고 있지 않는 완화 중에 있는 백혈병 환자에게 생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 또한 단기간(2주이내), 저용량 내지 중등도 용량의 전신 스테로이드 요법, 국소 스테로이드 요법(예; 비강, 피부), 저용량 내지 중등도 용량의 속효성 전신성 스테로이드의 장기간 격일 치료,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관절내, 점액낭, 건(腱) 주사는 그들의 일상적인 용량에서는 면역이 억제되지 않으므로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백신의 투여 금기사항이 아니다.
임부에 대한 투여 
1) 동물의 생식능 시험은 실시되지 않았으며, 임부에 투여 시 태아에 손상을 유발하는지 또는 생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도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임부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2) 가임 여성은 접종 후 1개월간 피임한다 (용법.용량, 3) 가임기 여성 및 사용상의 주의사항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참조)
3) 임신 전/후 3개월 이내에 풍진 백신을 접종한 1200명 이상의 임부를 대상으로 한 18년간의 조사에서(이 중 683명에게 Wistar RA 27/3주 접종) 선천적 풍진 증후군에 해당하는 기형을 가진 신생아는 없었다. 시판 후 보고 및 발표된 관찰 연구의 추가 자료에서 이 백신을 접종한 환자에서 선천적 풍진 증후군에 해당하는 기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임신 첫 석달 내 유행성이하선염 감염은 자연 유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행성이하선염 백신 바이러스가 태반과 태아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것이 사람에서 선천성 기형을 유발하는 지에 대한 근거는 없다. 보고에 의하면, 임신기간 중 자연적으로 홍역에 감염되면 태아 위험도가 증대한다. 임신기간 중 자연적으로 홍역에 감염된 결과 자연유산, 사산, 선천기형 및 미숙아 비율이 증가하였다. 임부에서의 약독 바이러스 주에 대한 적절한 연구는 없다. 그러나, 백신 바이러스주가 태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판단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수유부에 대한 투여 
홍역 또는 유행성이하선염 백신 바이러스의 모유로의 이행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약독화 풍진 생바이러스 백신으로 면역된 수유부 여성에서 모유를 통해서 이 바이러스가 분비되어 영아에게 이행될 가능성이 있다. 혈청검사결과 풍진감염이 확인된 영아에서 중대한 증상이 보이지 않으나 풍진감염의 전형적인 경증의 임상 증상이 1건 보고되었으므로 수유부에 접종 시 특히 주의한다.
유ᆞ소아에 대한 투여 
6개월 미만의 영아에 대한 홍역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12개월 미만의 영아에 대한 유행선이하선염 및 풍진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백신을 사용한 임상시험에서는, 고령자가 젊은 성인들과는 다르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음성혈청반응을 나타내는 만 65세 이상의 고령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다. 다른 임상 시험에서도 고령자와 젊은 성인간의 반응 차이가 입증되지 않았다.
임상검사치에 대한 영향 
개별적으로 투여된 약독화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생바이러스 백신은 투베르쿨린 피부 민감도를 일시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투베르쿨린 검사는 MMR 접종 전/접종 시, 또는 접종 후 적어도 4~6주 후에 실시한다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적용상의 주의
1) 주사침 끝이 혈관 내로 들어가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2) B형 간염 및 기타 다른 감염원의 전염 방지를 위해 개인별로 별도의 무균 주사기와 바늘을 사용한다.
3) 방부제나 기타 항바이러스 물질이 들어 있는 경우 백신을 불활화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용해 시에는 반드시 첨부된 용해액만을 사용한다.
4) 백신의 바이러스가 불활화될 수 있으므로 접종 및 용해 시 방부제, 항균제, 세제 성분이 들어있지 않은 주사기를 사용한다. 25 게이지, 5/8” 바늘의 사용을 권장한다.
5) 첨부 용해액 전량을 주사기에 취하여 동결건조 백신이 든 바이알에 옮기고 잘 흔들어 녹인 후 다시 주사기에 취하여 피하주사한다. 용해하지 않으면 폐기한다.
6) 접종전 육안으로 이물 및 변색유무를 확인한다. 용해 시 이 백신은 투명한 황색이다.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빛에 노출되면 바이러스가 불활화 될 수 있으므로 항상 차광하여 보관한다. 용해 전 동결건조된 백신 바이알을 2-8℃또는 그 이하에서 보관한다. 첨부용해액은 백신과 함께 냉장보관하거나 따로 실온에서 보관한다. 용해액을 얼리지 않는다.
백신은 용해 후 바로 사용한다. 용해된 백신은 2-8℃의 어두운 곳에 보관하되 8시간 이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폐기한다.
기타 주의사항 
발암성, 변이원성 및 생식독성
이 백신은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독성에 대하여 평가되지 않았다.
저장방법 
밀봉용기 2 ~ 8℃에서 보관
 
상품요약정보

회원가입안내

회원가입 메뉴를 통해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동의 및 일정 양식의 가입항목을 기입함으로써 회원에 가입되며, 가입 즉시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문하실 때에 입력해야하는 각종 정보들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공동구매, 경매행사에 항상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을 위한 이벤트 및 각종 할인행사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주문안내

상품주문은 다음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Step1 : 상품검색
  • Step2 : 장바구니에 담기
  • Step3 : 회원ID 로그인 또는 비회원 주문
  • Step4 : 주문서 작성
  • Step5 : 결제방법선택 및 결제
  • Step6 : 주문 성공 화면 (주문번호)

비회원 주문인경우 6단계에서 주문번호와 승인번호(카드결제시)를 꼭 메모해 두시기 바랍니다. 단, 회원인 경우 자동 저장되므로 따로 관리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결제안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안내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안내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상품을 공급 받으신 날로부터 7일이내 단, 가전제품의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교환/반품이 불가능합니다.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다르게 이행된 경우에는 공급받은 날로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고객님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 상품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는 제외
  •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 (예 : 가전제품, 식품, 음반 등, 단 액정화면이 부착된 노트북, LCD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불량화소에 따른 반품/교환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단, 화장품등의 경우 시용제품을 제공한 경우에 한 합니다.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상품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자세한 내용은 고객센터 1:1 e-mail상담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환불안내

환불시 반품 확인여부를 확인한 후 3영업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 됩니다.)

적립금 및 포인트 안내

이용기간

주문으로 발생한 적립금은 배송완료 체크시점으로 부터 20일이 지나야 실제 사용 가능 적립금으로 변환됩니다.

20일 동안은 미가용 적립금으로 분류 됩니다. 미가용 적립금은 반품, 구매취소 등을 대비한 실질적인 구입이 되지 않은 주문의 적립금 입니다.

사용가능한 적립금(총 적립금-사용된적립금-미가용적립금)은 상품구매시 즉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조건

적립금사용시 최소구매가능적립금(구매가능한 적립금 요구선)은 ooo원 입니다. 적립금 사용시 최대구매가능적립금(적립금 1회 사용 가능 최대금액)은 ooo원 입니다.

소멸조건
  • 주문취소/환불시에 상품구매로 적립된 적립금은 함께 취소됩니다.
  • 회원 탈퇴시에는 적립금은 자동적으로 소멸됩니다.
  • 최종 적립금 발생일로부터 3년 동안 추가적립금 누적이 없을 경우에도 적립금은 소멸됩니다.

RECOMMEND ITEMS

같이 보면 좋은 상품을 소개해드립니다.
연관 상품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