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멘비오(수막구균단백접합백신)

생후 2개월 이상의 소아~만 55세 이하의 성인에서 침습성 수막구균 질환의 예방
제조사
글락소 스미스클라인
포장단위
0.5ml*5세트
보험코드
650003081
최소 주문수량 갯수는 1 개 이상
  • [생물]멘비오(수막구균단백접합백신)
공급사 재고 수량
백신공급사(의약품) 999
효능ᆞ효과 
생후 2개월 이상의 소아~만 55세 이하의 성인에서 Neisseria meningitidis A, C, W135 및 Y 군에 의한 침습성 수막구균 질환의 예방
(단, 생후 2개월~생후 23개월의 영아에서 Neisseria meningitidis A군의 효능효과는 입증되지 않음)
용법ᆞ용량 
1회 0.5 mL을 근육주사한다. 주사부위는 영아의 경우 대퇴부 전외측에 하고, 어린이와 청소년 및 성인의 경우 상완부 삼각근에 한다.
이 백신은 액상 바이알 2(MenCWY 용액)로 동결건조 바이알 1(MenA 분말)을 재현탁하여 투여 준비한다. 이 백신의 조제 및 재현탁 방법의 자세한 방법은 '사용상의 주의사항' 중 '10. 적용상의 주의'를 참고한다.
연령대별 접종방법은 다음과 같다.
• 생후 2개월~생후 23개월의 영아
- 접종을 시작하는 생후 2개월부터 생후 6개월까지 영아의 경우 처음 3회 접종을 각각 0.5mL씩 최소 2개월의 간격을 두고 접종하고, 4차 접종은 적어도 6개월 간격을 두고 만 1세 이후에 실시한다.
- 이 백신 접종 경험이 없는 생후 7개월~생후 23개월의 영아의 경우 0.5mL 씩 총 2회 접종을 한다. 두 번째 접종은 첫 번째 접종 후 최소 3개월의 간격을 두고 만 1세 이후에 실시한다.
• 만 2세 이상의 소아~만 55세 이하의 성인의 경우 0.5mL을 1회 접종한다.
이 백신의 추가접종의 필요성과 시점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금기 
활성 성분 및 디프테리아 톡소이드(CRM197)를 포함한 다른 성분에 과민성이 있거나 과거에 비슷한 성분을 함유한 백신을 투여한 후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이 있었던 경우
신중투여 
1) 이 백신은 혈소판감소증 환자, 출혈 장애 환자 및 혈종의 위험 때문에 항응고 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는 평가되지 않았다. 보건의료전문가가 혈종의 위험이 있는 사람의 경우 근육 주사 후의 위험-혜택에 대한 비율을 평가해야 한다.
2) 다른 백신들과 마찬가지로, 급성 중증 발열성 질환이 있는 환자는 이 백신 투여를 연기해야 한다. 경미한 감염은 접종 연기 사유는 아니다.
이상반응 
◯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사례
각 빈도 군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은 중대성 내림차순으로 제시되어 있다. 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매우 흔함(Very common): (≥ 1/10)
• 흔함(Common): (≥ 1/100에서 <1/10)
• 흔하지 않음(Uncommon): (≥ 1/1,000에서 <1/100)
• 드묾(Rare): (≥ 1/10,000에서 <1/1,000)
• 매우 드묾(Very rare): (<1/10,000)
• 불명(Not known): (현재 데이터로 추정 불가)
생후 2개월 ~ 생후 23개월의 영아
이 백신을 투여한 생후 2개월 된 영아 참가자 8,735명을 대상으로 필수접종 백신과의 병용투여 무작위배정 다기관 대조 임상 시험을 통해 이 백신의 4회 접종 계획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이 중 총 2,864명의 영아가 필수접종 백신을 단독으로 접종받았다. 필수접종백신(DTaP, Hib, PCV 백신)만 투여한 사람들과 이 백신과 필수접종백신을 동시에 투여받은 사람들과 비교하였을 때 전신 및 국소반응의 비율의 발생 비율의 차이가 없었다.
가장 흔한 국소반응은 주사부위 압통이었고 전신반응에 있어서는 과민성과 졸음이 가장 흔하였다. 두 처치군에서 응답한 반응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때는 첫 번째 투여 후에 나타났다.
이 백신의 2회 접종 계획에 대한 안전성은 생후 2개월~생후 23개월 된 2,180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4건의 임상연구에서 필수접종 백신과의 병용투여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을 통해 평가되었다.
그 다음 연령에서 이 백신을 필수접종백신과 함께 1회 추가 접종하는 계획에 대한 안전성은 34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2건의 임상연구를 통해 평가하였다. 대부분의 흔한 이상사례는 백신접종 후 최초 며칠 내에 발생하였다.
관찰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대사 및 영양 장애:
- 매우 흔함: 식이 장애
신경계 장애:
- 매우 흔함: 지속적 울음, 졸음
위장관계 장애:
- 매우 흔함: 설사, 구토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 흔함: 발진
전신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 매우 흔함: 과민성, 주사부위 압통, 주사부위 홍반(≤50 mm), 주사부위 경결(≤50 mm)
- 흔함: 중증의 주사부위 압통, 발열
- 흔하지 않음: 주사부위 홍반(>50 mm), 주사부위 경결(>50 mm)
생후 2개월~생후 23개월의 영아 피험자 12,049명 및 대조군 2,877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한 결과 중대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1) 사망
시험군에서 2건 발생하였다. 그 중 1건은 영아 돌연사, 1건은 패혈성 쇼크에 의한 사망이였으며, 백신과의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2) 가와사키병
가와사키병은 총 6건이 발생하였으며, 시험군 5건, 대조군 1건이다. 시험군에서 발생한 5건 중 2건은 백신과의 인과관계가 없으며, 3건은 백신과의 인과관계의 가능성이 있다.
3) 발열성 경련
발열성 경련은 시험군에서 총 4건이 발생하였으며, 백신과의 인과관계의 가능성이 있다. 이 중 3건은 MMRV(ProQuad)와 동시 접종시 발병하였다.
4) 급성파종성 뇌척수염
급성파종성 뇌척수염은 시험군에서 총 1건이 발생하였으며, 백신과의 인과관계 가능성이 있다. 본 건은 엠엠알II, 바리박스, 프리베나 및 하브릭스와 동시 접종하였다.
5) 그 외 중대 이상사례
간질, 심실상 빈맥, 완전 부분 발작, 발열 및 서혜부 농양의 경우 시험군에서 각각 1건 발생하였으며 백신과의 인과관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발성 혈소판감소 자색반의 경우 시험군에서 1건 발생하였으며, 백신과의 인과관계가 있다.
만 2세 ~ 만 10세의 어린이
1) 만 2세 ~ 만 10세 어린이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 프로파일 특성은 이 백신을 투여받은 3,181명을 대상으로 하는 4건의 임상연구 자료에 근거하였다. 국소 및 전신반응과 다른 이상사례의 반응률은 이 백신과 비교백신들(MenACWY-diphtheria toxoid 결합백신 또는 MenACWY 다당백신) 간에 대체로 유사하였다.
2) 이들 임상시험 동안 가장 흔한 이상사례는 일반적으로 하루에서 이틀 동안 지속되었으며 중증이지 않았다. 이들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대사 및 영양 장애:
- 흔함: 식이 장애
신경계 장애:
- 매우 흔함: 졸음, 두통
위장관계 장애:
- 흔함: 오심, 구토, 설사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 흔함: 발진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장애:
- 흔함: 근육통, 관절통
전신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 매우 흔함: 과민성, 권태감, 주사부위 통증, 주사부위 홍반(≤50 mm), 주사부위 경결(≤50 mm)
- 흔함: 주사부위 홍반(>50 mm), 주사부위 경결(>50 mm), 오한, 발열≥38°C
- 흔하지 않음: 주사부위 소양증
만 11세 ~ 만 65세의 청소년 및 성인
1) 청소년과 성인에게서의 이 백신의 안전성 프로파일 특성은 이 백신을 투여받은 6,401명의 피험자(만 11세 ~ 만 65세)를 대상으로 하는 무작위배정 대조 임상연구 5건에서 얻은 자료에 근거하였다. 이 백신 접종자 중, 58.9%, 16.4%, 21.3% 및 3.4%가 각각 만 11세 - 만 18세, 만 19세 - 만 34세, 만 35세 - 만 55세 및 만 56세 - 만 65세 군이었다. 2건의 주요 안전성 연구는 각각 만 11세 - 만 55세(N=2663) 및 만 19세 - 만 55세(N=1606)의 참가자가 등록된 무작위배정 활성대조 연구였다.
2) 국소, 전신, 및 기타 반응의 발생률과 중증도는 모든 연구들에 걸쳐 이 백신군에서 그리고 청소년군과 성인군 내에서 전반적으로 유사하였다. 이 백신을 접종한 만 56세 - 만 65세 성인(N=216)의 반응원성 프로파일과 이상사례 비율은 만 11세 - 만 55세 이 백신 접종자들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하였다.
3) 임상 연구에서 관찰된 가장 흔한 국소 및 전신 이상사례는 주사부위 통증과 두통이었다.
4) 중추적 임상 연구 3건과 뒷받침 연구 2건에서 보고된 이상사례는 아래에 신체기관계(SOC) 별로 나열하였다. 임상 연구들에서 보고된 가장 흔한 부작용은 보통 1-2일 정도만 지속되었고 중증이 아니었다.
신경계 장애:
- 매우 흔함: 두통
- 흔하지 않음: 어지러움
위장관계 장애:
- 매우 흔함: 오심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 흔함: 발진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장애:
- 매우 흔함: 근육통
- 흔함: 관절통
전신 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 매우 흔함: 주사부위 통증, 주사부위 홍반(≤50 mm), 주사부위 경결(≤50 mm), 권태감
- 흔함: 주사부위 홍반(>50 mm), 주사부위 경결(>50 mm), 발열≥38°C, 오한
- 흔하지 않음: 주사부위 소양증
5) 청소년 연령군에서는 백신의 안전성과 내약성이 Tdap에 비해 바람직하였으며 다른 백신과의 병용 투여 또는 순차적 투여 시에 큰 변화가 없었다.
< 해외 시판 후 조사 결과 >
이 사례는 그 숫자가 명확하지 않은 인구집단에서 자발적으로 보고되었기 때문에, 그 빈도를 신뢰성 있게 추정하거나 모든 사례에 있어서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확립하는 것은 어렵다.
혈액 및 림프계 장애 : 국소 림프절병증
만 2세~만 10세의 어린이
전신장애 및 주사부위 상태 : 접종받은 사지에서 상당히 부어 오르는 것을 포함한 주사부위 부기
신경계 장애 : 열성 경련
만 11세~만 65세의 청소년 및 성인
귀 및 내이(內耳) 장애 : 청각 손상, 귀 통증, 현기증, 전정기관 장애
눈 장애 : 눈꺼풀 처짐
전신장애 및 주사부위 상태 : 주사부위 가려움, 통증, 홍반, 염증, 접종받은 사지에서 상당히 부어 오르는 것을 포함한 주사부위 부기, 피로, 권태감, 발열
면역계 장애 :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과민반응
외상, 중독 및 시술후 합병증 : 추락, 머리 부상
검사 :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증가, 체열 증가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장애 : 관절통, 뼈 통증
신경계 장애 : 어지러움, 기절, 긴장성 경련, 두통, 안면 마비, 균형 장애
호흡, 흉부 및 종격 장애 : 구강인두 통증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 수포 상태
<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
◯ 생후 2개월~ 생후 23개월의 영아
국내에서 4년 동안 6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이상사례 발현율은 64.47%(421명/653명, 1,185건)이었고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49.16%(321명/653명, 821건)이며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을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주사부위 통증 10.26%(67명/653명, 67건), 발열 9.19%(60명/653명, 60건), 주사부위 홍반 4.90%(32명/653명, 32건), 주사부위 경결 4.44%(29명/653명, 29건), 주사부위 부기 0.15%(1명/653명, 1건)
- 감염 및 침습: 인두염 0.15%(1명/653명, 1건)
- 정신 장애: 과민성 33.54%(219명/653명, 221건), 식이장애 16.85%(110명/653명, 114건)
- 위장관계 장애: 설사 12.56%(82명/653명, 82건), 구토 10.11%(66명/653명, 67건)
- 신경계 장애: 졸음 19.30%(126명/653명, 126건)
-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발진 3.06%(20명/653명, 20건), 두드러기 0.15%(1명/653명, 1건)
중대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46%(3명/653명, 3건)로 폐렴, 세기관지염, 편도염이 각각 0.15%(1명/653명, 1건)이며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35.68%(233명/653명, 345건)이었고 보고된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를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주사부위 부기 0.15%(1명/653명, 1건)
- 감염 및 침습: 비인두염 9.49%(62명/653명, 71건), 기관지염 9.34%(61명/653명, 67건), 인두염 3.22%(21명/653명, 22건), 세기관지염 2.60%(17명/653명, 18건), 중이염 2.45%(16명/653명, 16건), 위장염 1.84%(12명/653명, 13건), 결막염 1.38%(9명/653명, 9건), 편도염 1.23%(8명/653명, 8건), 폐렴, 비염 각각 1.07%(7명/653명, 7건), 인플루엔자 0.61%(4명/653명, 4건), 상기도감염, 농가진, 헤르페스피부염, 구강칸디다증 각각 0.46%(3명/653명, 3건), 수족구병, 포진성구협염, 급성부비동염, 세균성인두염 각각 0.31%(2명/653명, 2건), 후두염, 연조직염, 급성폐쇄성후두염, 요로감염 각각 0.15%(1명/653명, 1건)
- 위장관계 장애: 장염 2.45%(16명/653명, 17건), 구내염 0.77%(5명/653명, 5건), 변비 0.46%(3명/653명, 3건), 위염, 대장염 각각 0.15%(1명/653명, 1건)
- 신경계 장애: 두통 0.15%(1명/653명, 1건)
-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아토피피부염 1.99%(13명/653명, 13건), 피부염 1.07%(7명/653명, 7건), 접촉성피부염 0.61%(4명/653명, 4건), 두드러기, 기저귀피부염 각각 0.31%(2명/653명, 2건), 수포, 알레르기피부염, 습진, 전신홍반, 땀띠, 가려움, 지루성피부염 각각 0.15%(1명/653명, 1건)
-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알레르기성비염, 콧물 각각 0.31%(2명/653명, 2건)
- 손상, 중독 및 시술상 합병증: 열상 0.15%(1명/653명, 2건), 절지동물물림, 손발톱손상, 피부찰과상 각각 0.15%(1명/653명, 1건)
- 시각 장애: 눈분비물, 각막염, 안구충혈 각각 0.15%(1명/653명, 1건)
- 혈액 및 림프계 장애: 빈혈, 철결핍빈혈 각각 0.15%(1명/653명, 1건)
- 면역계 장애: 아토피 0.15%(1명/653명, 1건)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0.46%(3명/653명, 3건)로 주사부위 부기, 인두염, 두드러기 각각 0.15%(1명/653명, 1건)가 보고되었다.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46%(3명/3267명, 3건)로 폐렴, 세기관지염, 편도염이 각각 0.15%(1명/ 1건)이며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 만 2세 ~ 만 55세의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
국내에서 6년 동안 3,2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이상사례 발현율은 29.23%(955명/3,267명, 1,826건)이었고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25.13%(821명/3,267명, 1,499건)이며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을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주사부위 통증 22.10%(722명/3,267명, 724건), 주사부위 홍반 5.02%(164명/3,267명, 170건), 주사부위 경결 4.04%(132명/3,267명, 134건), 권태감 1.53%(50명/3,267명, 50건), 발열 0.98%(32명/3,267명, 32건), 오한 0.92%(30명/3,267명, 30건), 주사부위 가려움 0.15%(5명/3,267명, 5건), 주사부위 온감, 말초부종 각각 0.06%(2명/3,267명, 2건)
- 감염 및 침습: 비인두염 0.06%(2명/3,267명, 2건), 인두염, 연조직염 각각 0.03%(1명/3,267명, 1건)
- 정신 장애: 과민성 1.07%(35명/3,267명, 36건), 식이장애 0.67%(22명/3,267명, 22건)
- 위장관계 장애: 오심 0.80%(26명/3,267명, 26건), 설사 0.28%(9명/3,267명, 9건), 구토 0.15%(5명/3,267명, 5건), 복통 0.06%(2명/3,267명, 2건)
- 신경계 장애: 두통 2.17%(71명/3,267명, 71건), 졸음 0.52%(17명/3,267명, 17건), 작열감 0.03%(1명/3,267명, 1건)
-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발진 1.62%(53명/3,267명, 53건), 두드러기 0.06%(2명/3,267명, 2건), 알레르기피부염, 식은땀 각각 0.03%(1명/3,267명, 1건)
- 근골격계 및 결합 조직 장애: 근육통 1.90%(62명/3,267명, 64건), 관절통 1.04%(34명/3,267명, 34건)
-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입인두통증 0.03%(1명/3,267명, 1건)
- 시각 장애: 알레르기결막염 0.03%(1명/3,267명, 1건)
중대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15%(5명/3,267명, 5건)로 폐렴 0.09%(3명/3,267명, 3건), 발열, 어지러움 각각 0.03%(1명/3,267명, 1건)이며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6.21%(203명/3,267명, 325건)이었고 보고된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를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주사부위 온감, 말초부종 각각 0.06%(2명/3,267명, 2건), 가슴통증, 주사부위멍 각각 0.03%(1명/3,267명, 1건)
- 감염 및 침습: 기관지염 1.04%(34명/3,267명, 34건), 비인두염 0.70%(23명/3,267명, 25건), 인두염 0.64%(21명/3,267명, 22건), 위장염 0.55%(18명/3,267명, 18건), 폐렴 0.37%(12명/3,267명, 13건), 세기관지염, 편도염 각각 0.37%(12명/3,267명, 12건), 비염, 상기도감염 각각 0.24%(8명/3,267명, 8건), 연조직염, 중이염 각각 0.18%(6명/3,267명, 6건), 급성중이염, 결막염, 인플루엔자 각각 0.12%(4명/3,267명, 4건), 급성부비동염, 바이러스성인두염 각각 0.09%(3명/3,267명, 3건), 농가진, 후두염, 방광염, 구강헤르페스, 인두편도염, 기관염 각각 0.06%(2명/3,267명, 2건), 헤르페스피부염, 수족구병, 포진성구협염, 세균감염, 위장관감염, 맥립종, 치주염, 스트렙토코쿠스인두염, 부비동염 각각 0.03%(1명/3,267명, 1건)
- 위장관계 장애: 장염 0.21%(7명/3,267명, 7건), 위염 0.15%(5명/3,267명, 5건), 설사, 변비, 복통 각각 0.12%(4명/3,267명, 4건), 구토, 구내염, 대장염 각각 0.06%(2명/3,267명, 2건), 만성위염, 충치, 미란성위염, 위식도역류질환, 과민대장증후군 각각 0.03%(1명/3,267명, 1건)
- 신경계 장애: 작열감 0.03%(1명/3,267명, 1건)
-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두드러기 0.24%(8명/3,267명, 10건), 아토피피부염 0.21%(7명/3,267명, 7건), 피부염, 접촉성피부염 각각 0.12%(4명/3,267명, 4건), 알레르기피부염, 식은땀, 땀흘림이상습진 각각 0.03%(1명/3,267명, 1건)
- 근골격계 및 결합 조직 장애: 목통증 0.03%(1명/3,267명, 1건)
-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알레르기성비염 0.52%(17명/3,267명, 17건), 천식 0.24%(8명/3,267명, 8건), 기침 0.15%(5명/3,267명, 5건), 콧물, 코막힘, 젖은기침 각각 0.06%(2명/3,267명, 2건), 입인두통증 0.03%(1명/3,267명, 1건)
- 손상, 중독 및 시술상 합병증: 타박상 0.06%(2명/3,267명, 2건), 절지동물물림, 인대염좌, 근육긴장 각각 0.03%(1명/3,267명, 1건)
- 시각 장애: 알레르기결막염 0.03%(1명/3,267명, 1건)
- 혈액 및 림프계 장애: 림프절염 0.03%(1명/3,267명, 1건)
- 신장 및 비뇨기 장애: 혈뇨, 신낭종, 요세관간질성신염 각각 0.03%(1명/3,267명, 1건)
- 귀 및 미로 장애: 귀통증 0.03%(1명/3,267명, 1건)
- 대사 및 영양 장애: 비타민D결핍 0.03%(1명/3,267명, 1건)
- 생식계 및 유방 장애: 전립선낭종 0.03%(1명/3,267명, 1건)
- 혈관 장애: 기립성저혈압 0.03%(1명/3,267명, 1건)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0.49%(16명/3,267명, 20건)이었고 보고된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을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신장애 및 투여부위 상태: 주사부위 온감, 말초부종 각각 0.06%(2명/3,267명, 2건)
- 감염 및 침습: 비인두염 0.06%(2명/3,267명, 2건), 인두염, 연조직염 각각 0.03%(1명/3,267명, 1건)
- 위장관계 장애: 설사, 복통 각각 0.06%(2명/3,267명, 2건), 구토 0.03%(1명/3,267명, 1건)
- 신경계 장애: 작열감 0.03%(1명/3,267명, 1건)
-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두드러기 0.06%(2명/3,267명, 2건), 알레르기피부염, 식은땀 각각 0.03%(1명/3,267명, 1건)
- 호흡기, 흉부 및 종격 장애: 입인두통증 0.03%(1명/3,267명, 1건)
- 시각 장애: 알레르기결막염 0.03%(1명/3,267명, 1건)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09%(3명/3,267명, 3건)로 폐렴 0.09%(3명/3,267명, 3건)이며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 이 약에 대한 국내 재심사 이상사례 및 자발적 부작용 보고자료를 국내 시판 허가된 모든 의약품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사례 보고자료와 재심사 종료시점에서 통합 평가한 결과, 다른 모든 의약품에서 보고된 이상사례에 비해 이 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 중 새로 확인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다만, 이 결과가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를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감염 : 인두염, 위장염
일반적주의 
1) 어떤 백신이라도 투여 전에 투여 담당자는 자세한 병력 및 현재 건강 상태 조사를 포함하여 알러지 반응 또는 기타 모든 반응의 예방을 위해 알려진 모든 주의 사항을 취해야 한다. 모든 주사제 백신과 마찬가지로, 백신 투여 후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항상 적절한 내과적 치료와 감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2) 정맥주사, 피하주사 또는 피내주사로 투여해서는 안된다.
3)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백신을 투여하는 경우, 서로 다른 주사부위를 사용해야 한다.
4) 이 백신은 백신에 함유되지 않은 다른 혈청군의 N. meningitidis에 의한 감염에 대해서는 보호 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5) 다른 백신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백신 접종자에서 보호 면역 반응이 발현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
6) 노출 후 예방법으로 백신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7)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은 백신 접종으로 적절한 보호 항체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휴먼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은 금기는 아니지만, 이 백신이 구체적으로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평가되지는 않았다. 보체 결핍 환자와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는 A, C, W135 및 Y군 수막구균 결합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8) 말단 보체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치료(예, 에쿨리주맙)를 받는 사람은 이 백신 접종 후에도 수막구균 A, C, W135, Y군에 의한 침습적 질환의 위험성이 있다.
9) 주사침 투여로 인한 심리적 반응으로서, 백신 접종으로 인한 혈관미주신경반응(실신), 과호흡 또는 스트레스 관련 반응을 포함한 불안 관련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신으로 인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절차가 준비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상호작용 
1) 생후 2개월~생후 23개월까지의 영아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에서 이 백신을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파상풍 톡소이드, 백일해 항원, Hib항원, 폴리오항원, 7가 폐렴구균 및 B형간염항원을 포함하는 백신과 동시 투여하여 필수접종백신과 비교한 결과 반응원성이 증가하지 않았고 안전성 양상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백신을 영아 필수접종백신인 DTaP, HBV, Hib, IPV 및 7가 폐렴구균 백신과 동시 접종한 결과 백일해 독소 중 PT 및 FIM 항원과 폐구균 백신의 6B와 23F항원에서 기초 접종 3회 접종 후 면역반응의 방해가 관찰되었다. 추가 4차 접종 후에는 백일해 항원 PT와 폐구균 백신의 6B항원과 23F항원에 대한 간섭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2) 만 2세~만 10세까지의 어린이들에서 다른 어린이용 백신들을 이 백신과 병용투여하여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한 자료는 없다.
3) 만 11세~만 18세까지의 청소년에서, Tdap(Tetanus, Reduced Diphtheria and Acellular Pertussis) 흡착 백신 단독투여 또는 Tdap와 (6, 11, 16 및 18 형) HPV(Human Papillomavirus) 재조합 4가 백신의 병용투여 연구 2건에서 이 백신이 평가되었으며, 두 연구 모두 백신의 병용 투여를 뒷받침하였다.
4) 어느 연구에서도 반응원성의 비율 증가 또는 백신 안전성 프로파일 변화의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백신과 디프테리아, 파상풍, 또는 HPV 백신 구성성분에 대한 항체 반응이 병용 투여로 인해 저해되지 않았다.
5) Tdap 투여 후 1개월 경과 후에 이 백신을 투여했을 때 W135군 혈청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청보호 비율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임상적 결과가 알려져 있지 않다.
6) 3가지 백일해 항원 중 2가지에 대한 항체 반응이 다소 억제된다는 증거가 있었다. 이 관찰 내용의 임상적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다. 백신 접종 후, 접종자의 97% 이상에서 3가지 백일해 항원 모두에 대한 백일해 역가가 검출되었다.
7) 위에 기술된 연구 이외에는 이 백신과 다른 백신과의 병용 투여가 연구되지 않았다. 병용하는 백신은 항상 다른 주사 부위에 투여해야 하며 가능하면 대측 부위에 투여한다.
8) 백신 접종자가 면역억제 치료를 받고 있다면, 면역학적 반응이 감소할 수 있다.
임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및 수유부를 대상으로 한 대조임상은 없다.
2) 전임상 연구에서, 이 백신은 임신, 배자/태자 발생, 출산, 또는 출생 후 발생의 측면에서 직간접적인 해로운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해당 약물은 명백히 필요한 경우에만 임부에게 접종해야 한다.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및 수유부를 대상으로 한 대조임상은 없다.
2) 해당 약물이 모유로 분비되는지 알 수 없다. 대부분의 약물이 모유로 분비되기 때문에 해당 약물을 투여받은 수유부는 주의를 필요로 한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만 56세 ~ 만 65세 사람들에 대한 자료는 충분하지 않다.
과량투여시 처치 
과량투여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적용상의 주의
1) 두 가지 용기에 들어 있는 두 가지 내용물 바이알 1(MenA 분말) 및 바이알 2(MenCWY용액)은 백신 투여 직전에 혼합하여 1회 투여분 0.5 mL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 백신은 바이알 2 용액으로 바이알 1의 분말을 재현탁하여 투여 준비 한다.
2) 재현탁하기 전과 후에 백신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검사해야 한다.
3) 시린지와 적합한 주사침(21G, 1 1/2인치 또는 21G, 40 mm)을 사용하여 용액 바이알 2의 내용물을 모두 취하고 분말 바이알 1에 주입하여 MenA 결합백신으로 재현탁한다. 바이알을 거꾸로 하여 세게 흔든 다음 재현탁액 0.5 mL을 취한다. 용량을 취한 후 바이알에 소량의 액체가 남는 것이 정상이다. 재현탁한 후에는 백신이 투명한 무색에서 연한 노란색의 용액이 되며, 육안으로 이물 입자가 보이지 않아야 한다. 이물 미립자가 보이거나 물리적 성상에 차이가 관찰된다면, 백신을 폐기한다.
4) 주사하기 전에, 주사침을 투여에 적합한 것으로 교체한다. 백신을 주사하기 전에 시린지에 공기방울이 없는지 확인한다.
5) 이 백신은 다른 의약품과 혼합해서는 안 된다.
6) 사용하지 않은 약이나 폐기물은 지역 요건에 따라 폐기해야 한다.
7) 한 번 동결된 약은 사용해서는 안 된다. 사용법 설명은 '11. 저장상의 주의사항'을 참고한다.
저장상의 주의사항
1) 동결을 피하여 2°C - 8°C에서 냉장보관하며, 차광을 위해 바이알을 겉상자에 넣어 보관한다.
2) 이 백신은 재현탁 후 즉시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재현탁 후 25°C 미만에서 8시간 동안 물리화학적 안정성이 입증되었다.
기타 주의사항 
운전 및 기계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전 및 기계 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백신 접종 후 매우 드물게 어지러움이 보고되었다. 이것은 운전 및 기계 사용 능력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저장방법 
2-8℃에서 보관, 냉동하지 말 것, 차광을 위해 두 바이알 모두를 카톤 내부에 보관할 것
 
상품요약정보

회원가입안내

회원가입 메뉴를 통해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동의 및 일정 양식의 가입항목을 기입함으로써 회원에 가입되며, 가입 즉시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문하실 때에 입력해야하는 각종 정보들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공동구매, 경매행사에 항상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을 위한 이벤트 및 각종 할인행사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주문안내

상품주문은 다음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Step1 : 상품검색
  • Step2 : 장바구니에 담기
  • Step3 : 회원ID 로그인 또는 비회원 주문
  • Step4 : 주문서 작성
  • Step5 : 결제방법선택 및 결제
  • Step6 : 주문 성공 화면 (주문번호)

비회원 주문인경우 6단계에서 주문번호와 승인번호(카드결제시)를 꼭 메모해 두시기 바랍니다. 단, 회원인 경우 자동 저장되므로 따로 관리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결제안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안내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안내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상품을 공급 받으신 날로부터 7일이내 단, 가전제품의 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교환/반품이 불가능합니다.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다르게 이행된 경우에는 공급받은 날로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고객님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 상품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는 제외
  •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 (예 : 가전제품, 식품, 음반 등, 단 액정화면이 부착된 노트북, LCD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불량화소에 따른 반품/교환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단, 화장품등의 경우 시용제품을 제공한 경우에 한 합니다.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상품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자세한 내용은 고객센터 1:1 e-mail상담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환불안내

환불시 반품 확인여부를 확인한 후 3영업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 됩니다.)

적립금 및 포인트 안내

이용기간

주문으로 발생한 적립금은 배송완료 체크시점으로 부터 20일이 지나야 실제 사용 가능 적립금으로 변환됩니다.

20일 동안은 미가용 적립금으로 분류 됩니다. 미가용 적립금은 반품, 구매취소 등을 대비한 실질적인 구입이 되지 않은 주문의 적립금 입니다.

사용가능한 적립금(총 적립금-사용된적립금-미가용적립금)은 상품구매시 즉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조건

적립금사용시 최소구매가능적립금(구매가능한 적립금 요구선)은 ooo원 입니다. 적립금 사용시 최대구매가능적립금(적립금 1회 사용 가능 최대금액)은 ooo원 입니다.

소멸조건
  • 주문취소/환불시에 상품구매로 적립된 적립금은 함께 취소됩니다.
  • 회원 탈퇴시에는 적립금은 자동적으로 소멸됩니다.
  • 최종 적립금 발생일로부터 3년 동안 추가적립금 누적이 없을 경우에도 적립금은 소멸됩니다.

RECOMMEND ITEMS

같이 보면 좋은 상품을 소개해드립니다.
연관 상품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