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메낙트라주 (수막구균 다당류-DT단백접합백신)
9개월 ~ 만 55세의 유·소아 및 성인에서 침습성 수막구균 질환의 예방- 제조사
- 사노피 파스퇴르 코리아
- 포장단위
- 0.5mL/1병
- 보험코드
- 665900191
- [생물]메낙트라주 (수막구균 다당류-DT단백접합백신)
![]() |
공급사 | 재고 | 수량 |
---|---|---|---|
백신공급사(의약품) | 999 |
|
9개월 ~ 만 55세의 유·소아 및 성인에서 Neisseria meningitidis A, C, W135 및 Y 군에 의한 침습성 수막구균 질환의 예방
용법ᆞ용량
1. 접종방법
본 백신은 근육주사하며, 절대로 정맥 주사 혹은 피하주사 해서는 안 된다.
2. 접종연령 및 횟수
- 9~23개월 : 1회 용량 0.5mL씩 3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
- 만2세~만55세 : 1회 0.5mL을 접종한다.
금기
1) 이전에 수막구균 다당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CRM197을 포함한 백신의 접종 시, 또는 본 백신의 구성성분에 대해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러지 반응을 보인자.
신중투여
1) 이전에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é syndrome, GBS)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자는 본 백신 접종 후 GBS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 유익성 및 위해성을 판단하여 접종을 결정해야 한다. 본 백신 접종과 시간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GBS가 보고 되었으며, 본 백신 접종 후 GBS의 위험은 시판 후 후향성 코호트 연구에서 평가 되었다. [‘시판 후 조사’항 참조]
이상반응
1) 임상시험
임상시험들은 서로 다른 조건 하에서 시행되기 때문에, 본 백신의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약물이상반응 발생률은 다른 백신의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발생률과 직접적으로 비교될 수 없으며, 실제 진료 환경에서 관찰되는 발생률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9~12개월령의 소아
메낙트라 백신의 안전성은 9~12개월령의 소아 3,721명을 대상으로 한 4건의 임상시험에서 평가되었다. 12개월령의 소아는 하나 이상의 권장되는 다른 백신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 바이러스 생백신(MMRV) 또는 홍역, 볼거리, 풍진 바이러스 생백신(MMR)과 수두 바이러스 생백신(V), 폐렴구균 7가 접합 백신 (디프테리아 CRM197 단백질)(PCV7), A형 간염 백신(HepA)] 또한 접종받았다. 대조군인 997명의 소아는 12개월령에 시험에 등록하였고 2가지 이상의 소아 백신[MMRV(또는 MMR+V), PCV7, HepA]을 12개월령에 접종 받았다. 12개월령의 시험대상자 중 3% 는 MMRV 대신에 MMR+V를 접종 받았다.
주요 안전성 시험은 9개월령과 12개월령에 메낙트라 백신을 접종 받은 1,256명의 소아가참여한 통제 시험으로 12개월령에 MMRV(또는 MMR+V), PCV7, HepA를 접종 받았다. 대조군 522명의 소아는 MMRV, PCV7, HepA를 접종 받았으며, 1,778명의 소아 중에서 78%의 시험대상자(메낙트라 백신, N=1,056; 대조군, N=322)는 미국에서 등록되었고, 22%는 칠레에서 등록되었다(메낙트라 백신, N=200; 대조군, N=200).
만2-55세의 시험대상자
메낙트라 백신의 안전성은 메낙트라 백신을 접종 받은 만2~55세의 시험대상자 10,057명, 수막구균 다당류 백신인 메노뮨-A/C/Y/W-135을 접종 받은 시험대상자 5,266명을 대상으로 한 8건의 임상시험을 통하여 평가되었다.
인구학적 특성에 있어 두 백신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만2~55세 메낙트라 백신 접종군의 24.0%, 16.2%, 40.4%, 19.4%가 각각 만2~10세, 만11~14세, 만15~25세, 만26~55세였다. 메노뮨-A/C/Y/W-135 백신 접종군의 42.3%, 9.3%, 30.0%, 18.5%는 각각 만2~10세, 만11~14세, 만15~25세, 만26~55세였다. 3건의 주요 안전성 시험은 만2~10세 (메낙트라 백신, N=1,713; 메노뮨-A/C/Y/W-135 백신, N=1,519), 만11~18세 (메낙트라 백신, N=2,270; 메노뮨-A/C/Y/W-135 백신, N=972), 만18~55세 (메낙트라 백신, N=1,384; 메노뮨-A/C/Y/W-135 백신, N=1,170)의 시험대상자가 등록된 무작위배정, 활성-대조 시험이었다. 만2~10세의 소아 3,232명 중에서 68% (메낙트라 백신, N=1,164; 메노뮨-A/C/Y/W-135 백신, N=1,031)는 미국에서 등록되었고, 32% (메낙트라 백신, N=549; 메노뮨 A/C/Y/W-135 백신, N=488)는 칠레에서 등록되었다. 칠레 및 미국에서 참여한 시험대상자 나이의 중간 값은 각각 만5세, 만6세였다. 청소년 및 성인은 모두 미국에서 등록되었다.
안전성평가
임상 시험에 따라 시험 대상자들은 각각의 백신 접종 후 20 또는 30분 동안 즉각적인 약물이상반응이 모니터링되었다. 기재된 접종 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백신 접종 후 7일간 관찰되었으며, 기재되지 않은 이상사례는 접종 후 28일간(영유아의 경우 30일), 응급실 방문, 예상치 않은 병원방문 및 중대한 이상사례의 경우 접종 후 6개월간 관찰하였다.
모든 안전성 시험에서의 중대한 이상사례
백신을 접종 받은 9개월~만55세의 시험대상자에서 중대한 이상사례 발생 유무를 6 개월간 관찰하였다. 메낙트라 백신을 접종 받은 9개월과 12개월령의 소아에서 발생한 중대한 이상사례 발생률은 2.0~2.5%였다. 12개월령에 하나 이상의 소아 백신을 접종 받은(메낙트라 백신과 동시 접종은 아님) 시험대상자에서의 중대한 이상사례 발생률은 1.6~3.6%였고, 접종 받은 백신의 수 및 종류에 따라 달랐다. 만2~10세에서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중대한 이상사례 발생률은 메낙트라 백신에서 0.6%, 메노뮨-A/C/Y/W-135 백신에서 0.7%로 관찰되었다.
만11~18세의 청소년 및 만18~55세의 성인에서 발생한 중대한 이상사례 발생률은 메낙트라 백신에서 1.0%, 메노뮨-A/C/Y/W-135 백신에서 1.3%로 관찰되었다.
주요 안전성 시험에서의 기재된 이상사례
9개월령과 12개월령의 소아 (표 1)에서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에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기재된 접종 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 반응은 접종 부위 압통 및 과민성이었다.
만2~10세의 미국 소아 (표 2)에서 백신 접종 후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기재된 접종 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접종 부위 통증 및 과민성이었다. 설사, 졸음 및 식욕 부진 또한 흔하게 나타났다.
만11~18세의 청소년 (표 3) 및 만18~55세의 성인 (표 4)에서 가장 흔하게 보고된 기재된 접종 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접종 부위 통증, 두통, 피로였다. 성인에서 발적을 제외한 접종 부위 반응은 메노뮨-A/C/Y/W-135 백신보다 메낙트라 백신 접종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표 1. 9개월령과 12개월령의 소아에서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에 기재된 약물이상반응을 보고한 미국 시험대상자의 백분율
메낙트라 백신
(9개월령)
N4=998-1,002 메낙트라 + PCV71+ MMRV2 + HepA3 백신
(12개월령)
N4=898-908 PCV71 + MMRV2 + HepA3백신
(12개월령)
N4=302-307
약물이상반응 전체 Grade 2 Grade 3 전체 Grade 2 Grade 3 전체 Grade 2 Grade 3
국소/접종 부위
압통5
메낙트라 접종 부위 37.4 4.3 0.6 48.5 7.5 1.3 - - -
PCV7 접종 부위 - - - 45.6 9.4 1.6 45.7 8.3 0.3
MMRV 접종 부위 - - - 38.9 7.1 1.0 43.0 5.2 0.0
HepA 접종 부위 - - - 43.4 8.7 1.4 40.9 4.6 0.3
홍반6
메낙트라 접종 부위 30.2 2.5 0.3 30.1 1.3 0.1 - - -
PCV7 접종 부위 - - - 29.4 2.6 0.2 32.6 3.0 0.7
MMRV 접종 부위 - - - 22.5 0.9 0.3 33.2 5.9 0.0
HepA 접종 부위 - - - 25.1 1.1 0.0 26.6 0.7 0.0
부어오름6
메낙트라 접종 부위 16.8 0.9 0.2 16.2 0.9 0.1 - - -
PCV7 접종 부위 - - - 19.5 1.3 0.4 16.6 1.3 0.7
MMRV 접종 부위 - - - 12.1 0.4 0.1 14.1 0.3 0.0
HepA 접종 부위 - - - 16.4 0.7 0.2 13.5 0.0 0.3
전신
과민성7 56.8 23.1 2.9 62.1 25.7 3.7 64.8 28.7 4.2
비정상적 울음8 33.3 8.3 2.0 40.0 11.5 2.4 39.4 10.1 0.7
졸음9 30.2 3.5 0.7 39.8 5.3 1.1 39.1 5.2 0.7
식욕 감소10 30.2 7.1 1.2 35.7 7.6 2.6 31.9 6.5 0.7
구토11 14.1 4.6 0.3 11.0 4.4 0.2 9.8 2.0 0.0
발열12 12.2 4.5 1.1 24.5 11.9 2.2 21.8 7.3 2.6
1 PCV7 = 폐렴구균 7가 접합 백신
2 MMRV =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 바이러스 생백신
3 HepA = 불활화 A형 간염 백신
4 N = 시험대상자 수
5 Grade 2: 접종 부위를 만지면 울고 저항함. Grade 3: 접종한 팔다리를 움직이면 울거나 접종한 부위의 움직임이 감소됨
6 Grade 2: 2.5cm 이상 5.0cm 미만. Grade 3: 5.0cm 이상
7 Grade 2: 보다 세심한 주의 요망. Grade 3: 통제불능
8 Grade 2: 1~3시간. Grade 3: 3시간 초과
9 Grade 2: 주변에 관심이 없거나 식사를 위해 일어나지 않음 Grade 3: 대부분의 시간 동안 수면 중이거나 깨어나는 것이 어려움.
10 Grade 2: 1 또는 2회 식사를 완전히 거름. Grade 3: 3회 이상 식사를 거부하거나 대부분의 식사를 거부함.
11 Grade 2: 24시간 동안 2회~5회. Grade 3: 24시간 동안 6회 이상 혹은 비경구의 수분공급을 요함
12 Grade 2: 38.5°C 초과 39.5°C 이하. Grade 3: 39.5°C 초과
표2. 만2~10세에서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에 기재된 약물이상반응을 보고한 미국 시험대상자의 백분율
메낙트라 백신
N1=1,156-1,157 메노뮨-A/C/Y/W-135 백신
N1=1,027
약물이상반응 전체 Grade 2 Grade 3 전체 Grade 2 Grade 3
국소/접종 부위
통증2 45.0 4.9 0.3 26.1 2.5 0.0
발적3 21.8 4.6 3.9 7.9 0.5 0.0
경결3 18.9 3.4 1.4 4.2 0.6 0.0
부어오름3 17.4 3.9 1.9 2.8 0.3 0.0
전신
과민성4 12.4 3.0 0.3 12.2 2.6 0.6
설사5 11.1 2.1 0.2 11.8 2.5 0.3
졸음6 10.8 2.7 0.3 11.2 2.5 0.5
식욕감퇴7 8.2 1.7 0.4 8.7 1.3 0.8
관절통8 6.8 0.5 0.2 5.3 0.7 0.0
발열9 5.2 1.7 0.3 5.2 1.7 0.2
발진10 3.4 - - 3.0 - -
구토11 3.0 0.7 0.3 2.7 0.7 0.6
발작10 0.0 - - 0.0 - -
1 N = 적어도 한 가지 이상 기재된 약물이상반응을 보고한 시험대상자 수. 두 백신 군 모두 시험 대상자 나이 중간값은 만6세 이다.
2 Grade 2: 정상적인 활동에 방해됨. Grade 3: 팔을 움직일 수 없거나 움직일 의지가 없음
3 Grade 2: 2.5-5.0cm. Grade 3: >5.0cm
4 Grade 2: 1~3시간 지속. Grade 3: 3시간을 초과하여 지속
5 Grade 2: 3~4회. Grade 3: 5회 이상
6 Grade 2: 정상적인 활동에 방해됨. Grade 3: 다른 사람과 놀거나 소통에 의지가 없거나 불가능함.
7 Grade 2: 식사를 2회 거름. Grade 3: 식사를 3회 이상 거름
8 Grade 2: 통증 또는 불편감으로 인해 움직임 감소. Grade 3: 통증으로 인해 주요 관절을 움직일 수 없음
9 구강 온도: Grade 2: 38.4°C ~ 39.4°C. Grade 3: 39.5°C 이상.
10 해당 이상사례는 발생 유무에 따라서만 보고됨
11 Grade 2: 2회. Grade 3: 3회 이상
주: 임상기간 Grade 1, Grade 2, Grade 3는 각각 경미, 중등도, 중증으로 수집됨.
표 3.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에 기재된 약물이상반응을 보고한 만11~18세 시험대상자의 백분율
메낙트라 백신
N1=2,264-2,265 메노뮨-A/C/Y/W-135 백신
N1=970
약물이상반응 전체 Grade 2 Grade 3 전체 Grade 2 Grade 3
국소/접종 부위
통증2 59.23 12.83 0.3 28.7 2.6 0.0
경결4 15.73 2.53 0.3 5.2 0.5 0.0
발적4 10.93 1.63 0.63 5.7 0.4 0.0
부어오름4 10.83 1.93 0.53 3.6 0.3 0.0
전신
두통5 35.63 9.63 1.1 29.3 6.5 0.4
피로5 30.03 7.5 1.13 25.1 6.2 0.2
권태감5 21.93 5.83 1.1 16.8 3.4 0.4
관절통5 17.43 3.63 0.4 10.2 2.1 0.1
설사6 12.0 1.6 0.3 10.2 1.3 0.0
식욕감퇴7 10.73 2.0 0.3 7.7 1.1 0.2
오한5 7.03 1.73 0.2 3.5 0.4 0.1
발열8 5.13 0.6 0.0 3.0 0.3 0.1
구토9 1.9 0.4 0.3 1.4 0.5 0.3
발진10 1.6 - - 1.4 - -
발작10 0.0 - - 0.0 - -
1 N = 시험대상자 수
2 Grade 2: 일상적인 팔의 움직임이 불편 혹은 제한이 있음. Grade 3: 팔을 움직일 수 없음
3 p<0.05 유의 수준을 나타냄. 각 분류 및 중증도의 p값은 Chi Square test를 사용하여 계산됨
4 Grade 2: 2.5-5.0cm. Grade 3: >5.0cm
5 Grade 2: 정상적인 활동에 방해됨. Grade 3: 침대에서 휴식이 필요함
6 Grade 2: 3~4회. Grade 3: 5회 이상.
7 Grade 2: 식사를 2회 거름. Grade 3: 식사를 3회 이상 거름
8 구강 온도: Grade 2: 38.5°C ~ 39.4°C. Grade 3: 39.5°C 이상
9 Grade 2: 2회. Grade 3: 3회 이상
10 해당 이상사례는 발생 유무만 보고
주: 임상시험기간 Grade 1, Grade 2, Grade 3는 각각 경미, 중등도, 중증으로 수집됨.
표 4.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에 기재된 약물이상반응을 보고한 만18~55세 시험대상자의 백분율
메낙트라 백신
N1=1,371 메노뮨-A/C/Y/W-135 백신
N1=1,159
약물이상반응 전체 Grade 2 Grade 3 전체 Grade 2 Grade 3
국소/접종 부위
통증2 53.93 11.33 0.2 48.1 3.3 0.1
경결4 17.13 3.43 0.73 11.0 1.0 0.0
발적4 14.4 2.9 1.13 16.0 1.9 0.1
부어오름4 12.63 2.33 0.93 7.6 0.7 0.0
전신
두통5 41.4 10.1 1.2 41.8 8.9 0.9
피로5 34.7 8.3 0.9 32.3 6.6 0.4
권태감5 23.6 6.63 1.1 22.3 4.7 0.9
관절통5 19.83 4.73 0.3 16.0 2.6 0.1
설사6 16.0 2.6 0.4 14.0 2.9 0.3
식욕감퇴7 11.8 2.3 0.4 9.9 1.6 0.4
오한5 9.73 2.13 0.63 5.6 1.0 0.0
구토8 2.3 0.4 0.2 1.5 0.2 0.4
발열9 1.53 0.3 0.0 0.5 0.1 0.0
발진10 1.4 - - 0.8 - -
발작10 0.0 - - 0.0 - -
1 N = 시험대상자 수
2 Grade 2: 일상적인 팔의 움직임이 불편 혹은 제한이 있음. Grade 3: 팔을 움직일 수 없음
3 p<0.05 유의 수준을 나타냄. 각 분류 및 중증도의 p값은 Chi Square test를 사용하여 계산됨
4 Grade 2: 2.5-5.0cm. Grade 3: >5.0cm
5 Grade 2: 정상적인 활동에 방해됨. Grade 3: 침대에서 휴식이 필요함
6 Grade 2: 3~4회. Grade 3: 5회 이상.
7 Grade 2: 식사를 2회 거름. Grade 3: 식사를 3회 이상 거름
8 Grade 2: 2회. Grade 3: 3회 이상
9 구강 온도: Grade 2: 39.0°C ~ 39.9°C. Grade 3: 40.0°C 이상
10 해당 이상사례는 발생 유무만 보고
주: 임상시험기간 Grade 1, Grade 2, Grade 3는 각각 경미, 중등도, 중증으로 수집됨.
백신 동시접종 시험에서의 이상사례
통상적인 소아 백신과 동시 접종 시의 기재된 접종 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
주요 안전성 시험에서 미국의 소아 1,378명이 등록되어 9개월령에는 메낙트라 백신을 단독 접종 받았으며, 12개월령에서는 메낙트라 백신과 하나 이상의 통상 접종 백신(MMRV, PCV7, HepA)을 동시접종 받거나 (N=961), 메낙트라를 제외한 2가지 이상의 통상 접종 백신(MMRV, PCV7, HepA)을 동시 접종 받았다 (대조군, N=321). 12개월령에 메낙트라 백신과 다른 백신을 동시 접종한 시험대상자들은 메낙트라 백신 접종 부위와 다른 백신 접종 부위에서 비슷한 빈도로 압통, 발적, 부어오름의 기재된 이상사례가 발생했다. 압통은 가장 빈번한 접종 부위 반응이었다(메낙트라, MMRV, PCV7, HepA 백신 접종 부위 각각 48%, 39%, 46%, 43%). 과민성은 가장 빈번한 전신 약물이상반응으로 메낙트라와 다른 백신의 동시 접종자에서 62%, 대조군에서 65%로 보고되었다.
만4~6세를 대상으로 미국에서 진행된 다기관, 평행군, 무작위 배정 임상 시험이 있었으며, 메낙트라 백신은 다음과 같이 접종 되었다; Sanofi Pasteur SA에서 제조된 흡착 디프테리아, 파상풍 톡소이드 및 백일해(DTaP) 혼합백신(DAPTACEL®)(이하 ‘DTaP 백신’)과 불활화 폴리오(IPOL®)(이하 ‘IPV’) 백신을 동시 접종하고 30일 후 메낙트라 백신 접종(A군), 메낙트라 백신과 DTaP백신을 동시 접종하고 30일 후 IPV 접종(B군), 메낙트라 백신과 IPV를 동시 접종하고 30일 후 DTaP백신 접종(C군). 기재된 접종 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각 백신 접종 후 7일간 기록 되었으며, 모든 시험 군에서 메낙트라 백신 접종 부위에서 가장 흔하게 보고된 기재된 약물이상반응은 통증이었다 (A군, B군, C군 각각 시험대상자의 52.2%, 60.9%, 56.0%). 메낙트라 백신 단독 혹은 동시 접종 시 모든 군에서 가장 흔하게 보고된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근육통이었다 (A군, B군, C군 각각 시험대상자의 24.2%, 37.3%, 26.7%). 39.5°C를 초과한 발열은 모든 군에서 1.0% 미만으로 발생하였다.
파상풍 및 디프테리아 흡착 백신과 동시 접종 시의 기재된 접종 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 반응
임상시험에서 메낙트라 백신과 Sanofi Pasteur Inc에서 제조된 파상풍, 디프테리아 흡착 백신(Td) 접종 후의 국소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 발생률이 비교되었다. 접종 부위 통증은 메낙트라 접종 후보다 Td 접종 후에 더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53% vs 71%). 전신 이상 사례의 전반적인 발생률은 메낙트라와 Td 백신을 동시 접종 했을 때가 Td 접종 후 28일 후에 메낙트라 백신을 접종했을 때보다 더 높았다 (59% vs 36%). 두 군 모두에서 가장 흔한 약물이상반응은 두통 (메낙트라 + Td, 36%; Td + 위약, 34%; 메낙트라 백신 단독, 22%) 및 피로 (메낙트라 + Td, 32%; Td + 위약, 29%; 메낙트라 백신 단독, 17%)였다. 모든 군에서 40.0℃ 이상의 발열은 0.5% 이하로 발생하였다.
장티푸스 Vi 다당류 백신과 동시 접종 시의 기재된 접종 부위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
임상시험에서 메낙트라 백신과 Sanofi Pasteur SA에서 제조된 장티푸스 Vi 다당류 백신 접종 후의 국소 및 전신 약물이상반응 발생률이 동시접종, 시험 디자인 및 시험대상자 수와 관련되어 비교되었다. 장티푸스 백신 접종 후에 통증을 경험한 시험대상자가 메낙트라 접종 후보다 많았다 (장티푸스 + 위약, 76% vs 메낙트라 백신 + 장티푸스, 47%). 두 군 모두에서 두 백신 접종 부위 모두에 대해 기재된 접종 부위 반응의 대부분(70~77%)은 Grade 1 로 보고되었고 접종 후 3일 이내에 사라졌다. 두 군에서 가장 흔한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두통 (메낙트라 백신 + 장티푸스, 41%; 장티푸스 + 위약, 42%; 메낙트라 백신 단독, 33%) 및 피로 (메낙트라 백신 + 장티푸스, 38%; 장티푸스 + 위약, 35%; 메낙트라 백신 단독, 27%)였다. 40.0℃ 이상의 발열 및 발작은 두 군 모두에서 보고되지 않았다.
2) 시판 후 자발보고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건에 추가로, 본 백신 시판 후 전세계적으로 자발 보고된 이상사례는 아래와 같다. 이들 이상사례는 불명확한 크기의 집단으로부터 자발 보고 되었기 때문에, 빈도 또는 본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 면역계 장애: 아낙필락시스/아낙필락시양 반응과 같은 과민반응, 천명, 호흡곤란, 상기도 부어오름, 두드러기, 홍반, 소양증, 저혈압
- 신경계 장애: 길랑-바레 증후군, 감각이상, 혈관미주신경실신, 어지럼증, 경련, 안면신경마비,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횡단척수염
- 근골격 및 결합조직 장애: 근육통
- 전신 장애 및 접종 부위 상태: 넓은 접종부위 반응, 접종한 팔다리의 광범위한 부종(접종 부위의 홍반, 온감, 압통 또는 통증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3) 미국의 길랑-바레 증후군 코호트 연구 결과
미국에서 보험 청구 자료를 기반으로 만 11세에서 만 18세 9,578,688명 중 본 백신을 접종 받은 1,431,906명(15%)을 확인하여 본 백신 접종 후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é syndrome, GBS)의 위험을 후향성 코호트 연구로 평가 하였다. 진료 기록을 통해 GBS 진단을 받은 72건 중 증상 시작 전 42일 내에 본 백신을 접종 받은 자는 없었다. 추가로 GBS의 가능성이 있는 129건은 진료기록 정보 부족 또는 누락으로 인해 GBS를 확진 또는 배제 할 수 없었다. 누락된 자료까지 고려하였을 때, 본 백신 접종 후 6주 안에 GBS 발병의 기여 위험도 범위는 1,000,000명 당 0~5건으로 추정 된다.
4)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생후 9개월~ 생후 23개월의 영아
국내에서 4년 동안 6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이상사례 발현율은 35.31%(226명/640명, 539건)이었고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17.97%(115명/640명, 229건)이며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을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주사부위홍반 7.19%(46명/640명, 46건), 주사부위통증 5.16%(33명/640명, 33건), 주사부위부어오름 5%(32명/640명, 32건), 발열 4.38%(28명/640명, 28건), 울음 2.19%(14명/640명, 14건), 주사부위경결 0.16%(1명/640명, 1건)
- 대사 및 영양 장애: 식욕부진 3.75%(24명/640명, 24건)
- 각종 정신장애: 과민성 3.28%(21명/640명, 21건)
- 각종 신경계 장애: 졸음 3.13%(20명/640명, 20건)
- 각종 위장관 장애: 구토 1.25%(8명/640명, 8건)
- 감염 및 기생충 감염: 편도염 0.16%(1명/640명, 1건)
-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발진 0.16%(1명/640명, 1건)
중대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16%(1명/640명, 1건)로 비인두염이며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25.78%(165명/640명, 297건)이었고 보고된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를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각종 눈장애: 눈곱 0.47%(3명/640명, 3건), 안구충혈 0.16%(1명/640명, 1건)
- 각종 위장관 장애: 장염 0.94%(6명/640명, 6건), 설사 0.94%(6명/640명, 6건), 변비 0.31%(2명/640명, 2건), 구역질 0.16(1명/640명, 1건)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염증 0.16%(1명/640명, 1건), 주사부위잔물집 0.16%(1명/640명, 1건), 주사부위경결 0.16%(1명/640명, 1건)
- 감염 및 기생충 감염: 비인두염 9.38%(60명/640명, 64건), 기관지염 5.31%(34명/640명, 36건), 비염 4.53%(29명/640명, 30건), 중이염 1.72%(11명/640명, 12건), 부비동염 1.09%(7명/640명, 7건), 위장염 0.94%(6명/640명, 6건), 편도염 0.94%(6명/640명, 6건), 인두염 0.78%(5명/640명, 6건), 상기도감염 0.78%(5명/640명, 5건), 결막염 0.63%(4명/640명, 4건), 농가진 0.47%(3명/640명, 3건), 인플루엔자 0.47%(3명/640명, 3건), 급성중이염 0.31%(2명/640명, 2건), 폐렴 0.31%(2명/640명, 2건), 세기관지염 0.16%(1명/640명, 1건), 돌발발진 0.16%(1명/640명, 1건), 엔테로바이러스위장염 0.16%(1명/640명, 1건), 바이러스위장염 0.16%(1명/640명, 1건), 후두염 0.16%(1명/640명, 1건), 피부감염 0.16%(1명/640명, 1건), 상처감염 0.16%(1명/640명, 1건)
- 손상, 중독 및 시술 합병증: 절지동물물림 0.47%(3명/640명, 3건), 입손상 0.16%(1명/640명, 1건), 피부찰과상 0.16%(1명/640명, 1건)
- 호흡기, 흉곽 및 종격장애: 콧물 2.19%(14명/640명, 15건), 기침 2.03%(13명/640명, 14건), 알레르기비염 1.88%(12명/640명, 12건), 상기도염 0.94%(6명/640명, 6건), 천식 0.78%(5명/640명, 5건), 젖은기침 0.63%(4명/640명, 4건), 비충혈 0.47%(3명/640명, 3건), 재채기 0.47%(3명/640명, 3건), 구강인두통증 0.16%(1명/640명, 1건), 호흡기질환 0.16%(1명/640명, 1건)
-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발진 0.78%(5명/640명, 5건), 아토피피부염 0.47%(3명/640명, 3건), 피부염 0.47%(3명/640명, 3건), 식은땀 0.16%(1명/640명, 1건), 기저귀피부염 0.16%(1명/640명, 1건)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0.47%(3명/640명, 3건)로 주사부위경결, 편도염, 발진이 각각 0.16%(1명/640명, 1건)이 보고되었다.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0.16%(1명/640명, 1건)로 비인두염이 보고되었으며 이 중 이 백신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만 2세 ~ 만 55세의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
- 국내에서 4년 동안 만 2세 이상에서 만 55세 이하의 소아 및 성인 6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 결과, 이상사례 발현율은 45.0%(302명, 597건)이었고,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12.1%(81명, 198건)이며, 주사부위통증 9.2%(62명, 62건), 근육통 5.4%(36명, 36건), 권태감 3.7%(25명, 25건), 주사부위부어오름 3.6%(24명, 24건), 주사부위홍반 3.3%(22명, 22건), 두통 2.7%(18명, 18건), 발열 1.0%(7명, 7건), 주사부위가려움 0.3%(2명, 2건), 어지러움, 주사부위잔물집 각 0.1%(1명/ 1건)로 보고되었다. 중대한 이상사례 및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발현율은 37.0%(248명, 390건)이며, 비인두염 20.4%(137명, 147건), 비염 5.5%(37명, 47건), 기관지염 5.1%(34명, 37건), 상기도염 4.8%(32명, 33건), 알레르기비염, 알레르기피부염 각 1.6%(11명, 11건), 장염 1.5%(10명, 10건), 콧물 1.3%(9명, 12건), 기침 1.0%(7명, 9건), 결막염, 농가진, 변비 각 0.7%(5명, 5건), 중이염, 천식 각 0.6%(4명, 4건), 위장염 0.4%(3명, 3건), 부비동염 0.3%(2명, 3건), 구강인두통증, 구내염, 대장염, 복통, 소화불량, 젖은기침, 주사부위가려움, 편도염 각 0.3%(2명, 2건), 국소부종 0.1%(1명, 4건), 기도감염, 귀두포피염, 다낭난소, 대상포진, 등통증, 맥립종, 비충혈, 상복부통, 상처, 성대비후, 손발톱주위염, 수족구병, 습진, 알레르기기관지염, 엔테로바이러스감염, 외이염, 인두홍반, 재채기, 접종후감염, 접촉피부염, 주사부위잔물집, 팔다리통증, 편도주위농양, 폐렴 각 0.1%(1명, 1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0.4%(3명, 3건)이며, 주사부위가려움 0.3%(2명, 2건), 주사부위잔물집 0.1%(1명, 1건)로 보고되었다.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및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주의
1) 발생할 수 있는 백신 과민반응 및 이전에 백신-관련된 약물이상반응에 대한 병력을 접종 전에 검토하여 유익성 및 위해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급성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하여, 에피네프린 및 즉각적인 알러지 반응 조치에 사용되는 다른 적절한 약물이 즉시 투여될 수 있어야 한다.
2) 면역억제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을 포함한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에서는 본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이 떨어질 수 있다.
3) 본 백신을 접종 받은 피접종자에서 모두에게 예방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4) 본 백신 접종 후 실신(기절) 했다는 보고가 있었으므로, 낙상으로 인한 부상 방지 및 실신 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한다.
상호작용
1) 본 백신과 장티푸스 Vi 다당류 백신 또는 성인용 흡착 파상풍 및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혼합 백신(Td)을 각각 만18~55세 및 만11~17세에게 병용 접종 하였을 때, 면역 유도에 영향이 없음이 임상 연구를 통하여 입증 되었다. 만2세 미만의 소아에 대해서는 다음 백신 중 하나 이상과 동시 접종되었다: PCV7, MMR, V, MMRV, HepA.
만 4~6세의 소아에게 본 백신과 DTaP백신 접종이 필요한 경우 동시 접종하거나 DTaP 접종 전 본 백신을 먼저 접종할 것을 권장한다. DTaP 백신 접종 한달 후 본 백신을 접종하였을 때 본 백신의 수막구균 모든 혈청형에 대한 항체반응이 감소되었다. 만 4세 미만에서 DTaP 접종 후 본 백신을 접종하거나 만 7-10세에서 다른 디프테리아톡소이드를 함유한 백신 접종 후 본 백신을 접종한 면역원성 평가 자료는 없다.
2) 본 백신과 PCV7의 동시 접종 시에 PCV7의 몇몇 혈청형에 대해 폐렴구균 항체 반응이 적게 나타났다.
3) 본 백신과 다른 백신을 같은 주사기에 혼합하면 안 된다. 본 백신과 다른 백신을 동시 접종할 때에는 서로 다른 접종 부위에 서로 다른 주사기를 이용하여 접종한다.
4) 방사선요법, 대사길항제, 알킬화제, 세포독성 약물, 코르티코스테로이드(생리학적 용량과 비교하여 고용량 투여된 경우)를 포함한 면역 억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면역반응이 저하될 수 있다.
임부에 대한 투여
본 백신에 대해 동물 생식 시험이 수행되지 않았다. 본 백신이 임부에게 투여되었을 때 태아에 위험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생식능력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사람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성도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백신이 임부에게 명백히 필요한 경우 백신 접종에 따른 위험성과 이익을 신중하게 검토한 이후에 접종이 가능하다.
수유부에 대한 투여
본 백신의 모유 이행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반적인 많은 약물의 모유 이행을 고려하였을 때 본 백신의 수유부에 대한 접종은 주의를 요한다.
유ᆞ소아에 대한 투여
본 백신은 9개월 미만의 영아에 대해 허가되지 않았다. 자료에 따르면 본 백신을 3회 접종한(2, 4, 6개월령에) 영아에서 9개월령 및 12개월령에 본 백신을 2회 접종한 소아에 비해 각 수막구균 혈청형에 대한 면역 반응이 적게 나타났다.
고령자에 대한 투여
만56세 이상의 성인 및 고령자에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적용상의 주의
1) 본 제품은 어떠한 경우에도 정맥주사, 피하주사, 혹은 피내주사로 접종되어서는 안된다.
2) 본 백신은 투명하거나 약간 혼탁한 액체로 접종 전, 백신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어떠한 이물질이나 물리적 성상에 변화가 있는지 검사한다.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접종 부위는 피접종자의 나이와 근육량에 따라 전외측 허벅지 또는 삼각근에 접종하는 것을 권장 한다.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2~8℃ 냉장 상태에서 동결을 피하여 보관하고 동결 되었던 제품은 사용하지 않는다.
저장방법
동결을 피하여 2~8℃에서 보관
회원가입안내
회원가입 메뉴를 통해 이용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동의 및 일정 양식의 가입항목을 기입함으로써 회원에 가입되며, 가입 즉시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문하실 때에 입력해야하는 각종 정보들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공동구매, 경매행사에 항상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을 위한 이벤트 및 각종 할인행사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주문안내
상품주문은 다음단계로 이루어집니다.- Step1 : 상품검색
- Step2 : 장바구니에 담기
- Step3 : 회원ID 로그인 또는 비회원 주문
- Step4 : 주문서 작성
- Step5 : 결제방법선택 및 결제
- Step6 : 주문 성공 화면 (주문번호)
비회원 주문인경우 6단계에서 주문번호와 승인번호(카드결제시)를 꼭 메모해 두시기 바랍니다. 단, 회원인 경우 자동 저장되므로 따로 관리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결제안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안내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안내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상품을 공급 받으신 날로부터 7일이내 단, 가전제품의경우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교환/반품이 불가능합니다.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다르게 이행된 경우에는 공급받은 날로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로부터 30일이내
- 고객님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 상품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는 제외
-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 (예 : 가전제품, 식품, 음반 등, 단 액정화면이 부착된 노트북, LCD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불량화소에 따른 반품/교환은 제조사 기준에 따릅니다.)
- 고객님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단, 화장품등의 경우 시용제품을 제공한 경우에 한 합니다.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상품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자세한 내용은 고객센터 1:1 e-mail상담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환불안내
환불시 반품 확인여부를 확인한 후 3영업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 됩니다.)
적립금 및 포인트 안내
이용기간주문으로 발생한 적립금은 배송완료 체크시점으로 부터 20일이 지나야 실제 사용 가능 적립금으로 변환됩니다.
20일 동안은 미가용 적립금으로 분류 됩니다. 미가용 적립금은 반품, 구매취소 등을 대비한 실질적인 구입이 되지 않은 주문의 적립금 입니다.
사용가능한 적립금(총 적립금-사용된적립금-미가용적립금)은 상품구매시 즉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립금사용시 최소구매가능적립금(구매가능한 적립금 요구선)은 ooo원 입니다. 적립금 사용시 최대구매가능적립금(적립금 1회 사용 가능 최대금액)은 ooo원 입니다.
- 주문취소/환불시에 상품구매로 적립된 적립금은 함께 취소됩니다.
- 회원 탈퇴시에는 적립금은 자동적으로 소멸됩니다.
- 최종 적립금 발생일로부터 3년 동안 추가적립금 누적이 없을 경우에도 적립금은 소멸됩니다.
RECOMMEND ITEMS
같이 보면 좋은 상품을 소개해드립니다.